혁신도시 토지보상 결과 토지보상금 대부분이 전주와 완주 등 원주민이 아닌 타 지역 사람들에게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전북도에 따르면 현재 혁신도시 토지보상율은 94.5%. 전체 토지 소유자 3,861명 중 3,782명이 협의를 마쳤고 전체 보상금 6,499억원의 97.1%에 해당하는 6,309억원이 지출됐다.
 또 756명은 토지보상가에 합의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토지수용요청을 한 상태이며 2월 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돼 적어도 2월이면 혁신도시 내 모든 토지에 대한 보상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31일까지 완료된 토지보상 상황을 점검해보면 수천억원대에 이르는 막대한 금액이 타지인 손으로 들어가 정작 혁신도시 내에 거주했던 원주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으로 전락했다.
 전주와 완주 등에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민 가운데 보상대상자는 고작 18.5%인 717명이고 나머지 3,144명은 원주민이 아닌 타 지역 주민들인 것으로 전북도는 내다보고 있다.
 특히 타 지역 주민들 중 1,081명(전체 대상자 대비 28%)은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 주민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6,499억원이라는 막대한 금액이 토지보상비로 집행됐지만 상당수 금액이 타 지역으로 유출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도내 은행들이 토지보상금 유치에 사활을 걸고 공격적인 영업활동을 벌였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전북은행은 지금까지 전체 토지보상금 중 800억원 가량을 유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얼마만큼의 돈이 빠져나갔는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전북농협 역시 토지보상금 유치에 총력전을 펼쳤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 관계자는 “올 2월까지 토지보상을 모두 마칠 계획”이라며 “보상 추진 결과 토지보상에 따른 수익자 대다수가 원주민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 자금의 역외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주택 1,242동과 기타건물 160동, 분묘 3,089기, 전주 6,000개, 철탑 17기 등 시설물 보상에 있어서도 93%의 보상을 마쳤고 3,324㎢ 4개 구역에 대한 문화재 시·발굴 조사도 추진하고 있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