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회사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시공 중인 공공공사를 담보로 자금을 대출받는 브리지론이 정작 자금회전이 시급한 도내 건설업체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보증서를 발급받기 위한 조건이 까다롭고 보증서를 발급받더라도 시중은행들이 대출을 꺼려 도내에서 실제 자금이 융통된 경우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
 건설공사 브리지론은 공공공사를 수주한 건설업체가 정부 및 공공기관 등 발주자로부터 받을 예정인 공사대금(기성)을 담보로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서를 발급받아 금융기관으로부터 단기(평균 3~6개월)자금을 조달받는 상품이다.
공공공사를 담보로 하기 때문에 일반 대출에 비해 기업 신용도가 하락할 염려가 없고 회사채 발행 등 다른 자금조달 방식보다 이자부담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여기에 작년 말 신용보증기금이 브리지론 보증한도를 건당 2000억원으로 대폭 늘리면서 중소업체는 물론이고 대형사들도 브리지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공공공사를 담보로 제공하는데도 불구하고 보증을 받기 위해서는 회사 내 모든 프로젝트 파이낸싱(PF)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공동도급사의 동의서를 받아 첨부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 도내에서 실행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기업 신용도에 따라 1~3%까지 적용되는 보증수수료율도 건설사들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욱이 보증서를 발급 받았다 하더라도 시중은행들은 여전히 건설업체들에 대한 대출을 꺼리고 있어 건설사들의 자금회전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보증서 발급 자체가 어려운 데다 금융기관에서도 건설사에 대한 대출을 여전히 기피하고 있어 자금을 지원받기는 어려운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종호기자·leejh729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