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서도 지표조사, 발굴조사를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전문기관의 설립 붐이 일 고 있다.

지금까지 (재)호남문화재연구원과 (재)전북문화재연구원이 두 곳이 설립되고 활동하고 있었지만 올해 들어 (재)전라유산문화유산연구원과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이 신규 등록을 마치고 문화재청과 전북도청으로부터 최종적인 인가를 마침에 따라 도내에서도 전문기관이 4곳으로 늘어났다.

여기에 대학으로 지표조사와 발굴조사에 참여한 전북대박물관, 군산대박물관, 전주대박물관, 원광대마한백제문화연구소 및 기타로 분류되는 국립전주박물관을 포함하면 현재 4월 17일 현재 도내에는 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관이 총 9곳으로 늘어난다. 타 시도에 비하면 전문기관이 많다는 것이 고고학계와 문화계의 반응이다.

특히 이같이 전문기관이 증가하는 이유는 관련학과 대학졸업자들의 취업을 위한 창구 역할이란 긍정적 평가와 함께 몇몇 학자들의 퇴임 뒤 노후 대비용이란 부정적 시각도 제기된다.

더욱이 대학박물관과 국립전주박물관이 자체적인 발굴과 용역 발굴에 참여하고 있지만 전문기관, 즉 재단법인으로 설립된 기관들은 수익사업으로 변질되어가는 발굴사업에 대한 개선책과 비정규직 연구원 처우개선, 보고서 제출시한 문제 등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 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우후죽순처럼 등장하고 있는 전문기관 설립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이 제기되고 있다.

전국적인 택지 재개발, 건설 열풍을 업고 대상지의 문화유산 구제발굴만을 전담하는 발굴전문법인들이 최근 1~2년 사이 우후죽순격으로 난립하는데다, 교육기관인 대학의 박물관과 사설연구소 등도 발굴경쟁에 뛰어들면서 발굴비 등의 금전관계에 얽힌 부실발굴과 졸속 보고서 남발, 비정규직 연구원 홀대, 발굴수입 전용 등 갖가지 문제점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발굴전문법인은 전문 연구원들이 직업적으로 개발대상터의 문화유산 발굴·연구만을 전담하는 재단법인을 말한다. 90년대 발굴수요가 급증하자 대학 발굴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는 학계 여론에 따라 생긴 것이다.

민법상 1억원 이상 출자액과 책임연구원만 있으면 설립인가가 나온다. 그렇지만 타 지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발굴기관이 절실하다는 긍정적 시선도 있어 문화재발굴전문기관은 설립 붐에 대해 도내 고고학자는 “자치에 전문기관의 옥석을 가리는 방안이 절실하다”며 “이왕 설립되었다면 지자체와 국가기관의 철저한 사후관리로 제대로 된 발굴기관이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지난해 도내 발굴기관 대표들의 일련의 사태들이 법정까지 가는 사태가 벌어져 비난이 쏟아진 바 있다.

한편 현재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은 전북대 김승옥교수가 원장, 금산사 성보박물관 학예연구사였던 김미란씨가 원장으로 취임할 것으로 보인다. 또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곽장근 군산대교수가 이사장,유철 전 전라북도청 별정 5급 전문위원이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이상덕기자·lees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