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공사채발행에 따른 지자체의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정부의 혁신도시 관련 예산배정은 극히 소액이어서 정부의 혁신도시 조성 의지에 의구심을 불러오고 있다.
 21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 혁신도시 이전 대상기관은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지적공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업대학,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식품연구원, 지방행정연수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등 12개 기관.
 현재 전북혁신도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와 전북개발공사는 토지보상을 거의 끝마치고 각각 지난해 3월과 올 2월 각각 1공구에 대한 부지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12개 이전대상 기관 중 한국토지공사와 농촌진흥청 및 5개 산하기관(국립농업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업대학) 등 7개 기관에 대한 승인절차가 마무리됐으며 나머지 기관에 대한 승인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승인절차 등 이전절차가 지연되면서 전북 혁신도시 개발을 위한 공사채발행 이자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대목이다.
 지난 1998년 전북도가 전액 출자해 설립한 전북개발공사는 전북 혁신도시 조성을 위해 농협과 산업은행, 전북은행 등 5개 금융기관과 보상채권 교부채로 2433억원의 빚을 지고 있다.
 이에 대한 하루 이자는 4000만원에 달하고 매달 12억원의 이자가 발생하는 등 올 한해 이자만 무려 147억원에 달한다.
 이런 사실을 알고 있는 정부의 올해 혁신도시 관련 예산 배정은 전체 이전비용의 5% 이하에 그치고 있어 조성 의지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전북 혁신도시 이전 기관 중 가장 덩치가 큰 농촌진흥청 등 6개 기관의 전체 이전비용은 1조 920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올해 관련 예산은 겨우 설계비 등 부대비용 297억원이 고작이다. 3800억원의 비용이 예상되고 있는 토지공사의 경우에도 전체비용의 2.8%에 해당하는 108억원만이 배정된 상태다.
 더욱이 정부는 내년 예산에 전체 부지매입비의 10%를 계약금 명목으로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전북도의 혁신도시 조성 이자부담은 이전이 완료되는 2012년 직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토·주공 통합문제 역시 불리하게 작용할 경우 전북 혁신도시 조성 전체 중 상당수 부분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논란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