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경제 상황이 지속적으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은 취약한 제조업 기반에 따른 산업생산률 감소와 높은 어음부도율, 심각한 인구유출 등이 ‘주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인구비중이 크게 줄고, 취약한 경제구조로 인해 취업자 수도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전북경제는 갈수록 멍들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방경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맞춤형 응급처방을 확대하는 한편 지자체와 지역 상공인 단체가 적극 협력해서 지역기업에 대한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10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지방주도의 경제활성화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국가경제가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지방경제는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전북지역 산업생산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올해 1/4분기 산업생산은 5%이상 줄었다. 이는 30% 이상 급감한 광주나 대구, 전남 등에 비해서는 비교적 낮은 수치이긴 하지만, 제조업 등 경제 기반이 워낙 취약해 생산량 감소폭도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경기 성장에 발목을 잡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상승세를 이어가는 어음부도율. 도내 어음부도율은 0.10%으로 전국 평균치인 0.03%보다 세배 이상 높으며, 16개 지역 중 6번째나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심각한 인구유출도 지역경제의 위기감을 더욱 부추기는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수도권 인구비중은 48.8%로 지난 1992년(44.1%)보다 4.8%나 증가했지만, 전북 등 호남권은 12.4%에서 10.5%로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박용규 수석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인구유출의 가장 큰 요인은 일자리와 교육문제이기 때문에 현재의 경제위기는 지방의 인구유출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대전과 충북, 경북 지역의 취업자 수는 안정적인 추세인 반면 전북은 갈수록 감소하면서 인구유출을 부추기고 있다. 이날 호남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밝힌 도내 5월 경제활동인구는 85만9000명으로 작년 같은기간보다 1만8000명(-2.0%)이나 줄었다. 취업자 수도 84만2000명으로 작년 같은기간보다 1만5000명(-1.8%) 감소했다.
박 연구원은 “전북지역과 같은 지방경제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고 유통, 자영업 등 내수기반의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 외부 충격에 더욱 민감하다”며 “그럴수록 지역 기업에 대한 밀착지원체제 강화로 일시적 충격에 의한 부실화를 방지하고,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등 지역 주도의 경제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역내 에서 순환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은숙 기자myiop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