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농업용 로봇산업, ‘시기상조(?)’
- 지식경제부의 지능형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5개년 기본계획에 반영됐으나 기획재정부에서는 아직 실용화 사례가 극히 적은 상태로 예산 지원에 부정적
- 4대 광역경제권별 6개 로봇지원센터사업을 지역전략산업과 연계 추진되지만 전북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

전북도의 농업용 로봇산업 특화사업이 불투명한 예산확보 탓에 첫발도 내딛지 못할 상황에 놓여졌다.
이는 농도인 전북이 연구개발 기반과 생산인프라 여건, 새만금의 대규모 농업용지 등 농업용 로봇산업 집중 육성을 위한 최적지로 평가되고 있음에도 정부가 농업용 로봇의 실용화 사례가 없다며 예산 지원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13일 도에 따르면 전북에 농업용 로봇산업을 특화해 농업발전 및 현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농업로봇지원센터 구축 등에 필요한 국비 42억원의 반영을 지획재정부에 요청했다.
도는 그동안 전북테크노파크와 함께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로봇사업추진협의회 TF팀을 구성해 농업용 로봇산업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공청회 등을 통해 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제기, 정부의 지능형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에 포함시켰다.
전북은 LS엠트론, 동양물산 등 전국 농기계 생산 36%의 생산기반과 15.6%의 시설농업 시장 보유 등 농업로봇 생산의 최적지로 꼽히고 있다. 또 자동차·농기계 등 전략산업을 기반으로 새만금 지역 내 대규모 농업용지(85.7㎢)에서 농작업의 자동화·무인화·로봇화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특히 농촌인구가 연간 4.9%씩 감소하고 식량 자급률 30% 이하로 세계 최하위로 전락하고 농산물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농업로봇 개발·보급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재부는 전북의 농업용 로봇산업이 로봇 청소기 등을 출시한 전자·산업용 분야와는 달리 아직까지 실용화 사례가 없기 때문에 예산지원에 난색을 보였다는 것.
무엇보다 4대강 살리기사업 등 대규모 국책사업에 예산이 집중되면서 신규사업 억제 방침도 한몫 했다는 지적이다.
농도라는 이미지에 맞는 농업용 로봇이라는 차별화된 계획으로 일단은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했으나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가 불투명해지면서 사업 자체가 표류할 위기에 처해졌다.
도 관계자는 “정부의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정책에 맞춰 전북의 특성을 고려한 농업용 로봇산업을 내년부터 추진하기 위해 국비 반영에 노력했지만 기재부의 신규사업 억제와 인프라 분야에 대한 예산을 배제하고 있어 어려움에 처해 있다” 면서 “앞으로 광역경제권 사업 추진에 맞춰 이슈화함으로써 농업용 로봇산업이 본격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농업용 로봇산업 추진을 위해 내년부터 5년간 김제농기계클러스터조성 단지 내에 국비 190억원 등 총 사업비 267억원을 투입, 관련 기업과 대학연구소 등을 참여시켜 상용화를 고려한 농업용 로봇 시제품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