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그룹과 무소속 등 여러 갈래로 나뉜 민주당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기점으로 범야권의 대통합을 이뤄낼 것인지 반대로 포스트 DJ를 꿈꾸며 이합집산이 전개될 것인지 중대 기로에 서게 됐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채 석 달도 되지 않아 민주주의의 상징인 김 전 대통령마저 서거하면서 구심점을 한꺼번에 잃어 민주진영은 자칫 혼란에 빠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앞서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지지율 반등이라는 부수효과를 누렸으나 그 것도 잠시, 오히려 친노 그룹이 급부상하고 신당 창당 움직임까지 일면서 야권 통합이 아닌 분열될 조짐에다 지루한 장외투쟁으로 국민들로부터 지속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는 자충수를 둔 상태다.

민주당은 이후 미디어법 원천무효 규탄대회로 오는 10월 재보선에서 국민의 심판을 내심 기대한 것이 아니냐는 게 지역정치권의 분석이다. 이런 시점에 노 전 대통령에 이어 김 전 대통령까지 서거, 잇따른 두 기둥의 상실로 민주당은 또다시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는 환경에 처한 상태다.

때문에 국장 이후 민주당이 고인의 유지에 따라 민주진영의 결집을 통한 범야권의 대통합을 이끌어 낼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도내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김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들어 전국정당화를 위한 계기로 승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두 전직 대통령의 상실이 오히려 민주세력을 뭉치게 하고 새로운 지도자를 발굴하는 촉매가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러나 호남의 정치적 맹주자리를 위한 자리다툼 또한 치열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와 무소속 정동영 의원, 친노 측의 유시민 전 의원, 한명숙 전 총리, 광주전남의 박지원, 박주선, 김효석 의원 등이 동상이몽 할 경우 민주당은 정 대표가 밝힌 것처럼 단결이 아닌 되레 정치적 고아가 될 소지도 크다.

민주당은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단결로 승화시킬 것인지 반대로 분열할 것인지 갈림길에 서게 됐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