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감영 및 4대문 복원사업을 이끌어갈 추진위원회가 첫 회의를 갖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추진위원회는 앞으로 복원 규모와 방향, 사업비 마련 등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들어 나가게 된다. 이와 관련 전라감영 복원에 있어 그동안 추진상황과 5가지 쟁점사항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추진상황
전라북도 기념물 제107호인 전라감영은 지난 1951년 무기고 폭발로 선화당을 비롯한 부속건물이 소실됐고 1952년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전라감영은 지난 1996년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된 이후 2004년에는 구도심활성화 방안 용역과 2006년 전라감영지 유구 발굴조사로 이어졌지만 감영정청인 선화당 위치를 확인하는 데는 실패했다. 이후 전주시는 토론회와 공청회 등 11회에 걸친 의견수렴과 함께 전라감영 복원기본계획 학술용역을 원광대 부설 도시지역개발연구소에 의뢰, 지난 2007년 2월 모두 738억원을 들여 3단계에 걸쳐 역사존과 문화존, 한브랜드 존 등을 조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기본계획안을 납품받았다.
하지만 도와 시는 사업주체와 규모, 추진방향 등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하다가 추진위원회 구성에 합의, 발족한 추진위원회가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들어나가기에 이르렀다.
▲감영복원 5가지 쟁점
1)복원의 공간적 범위-복원 공간을 놓고 전라감영터 완전복원과 현 도청사 부지 복원, 용역기관이 제안한 부분 복원이 주요 쟁점이다. 완전복원의 경우 시가화에 따른 역사적 사실규명이 어려운데다 사업비 과다로 실현 가능성이 희박해 구도심 공동화 현상이 과중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현도청사 부지 복원은 부지 확보로 재정부담이 최소화되고 단기간내에 사업추진이 가능하나 주요시설의 규모 있는 어려움으로 역사성이 떨어져 기대효과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시는 용역기관이 3단계에 걸쳐 4가지 존을 조성하는 부분 복원에 무게를 두고 있다.
2)역사적 건물의 복원규모-건물 복원에 있어 원형복원과 상징적 부분 복원이 쟁점이다. 원형복원은 전라감영 복원이 세계문화유산 도시정착을 목표로 추진, 전주문화가 한국문화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서 최대한 원형을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상징적 부분 복원은 전라감영의 핵심시설인 선화당과 내아, 포정루 등을 복원하고 나머지 지역은 문화시설을 배치해 주변과 연계하는 상업적 목표를 추구한다는 것으로 전북도가 잠정적으로 확정한 방침이다.
3)구도청사 건물활용-용역기관이 납품한 기본계획안은 구도청사 건물을 철거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근대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는 만큼 본건물과 의회 건물은 존치하고 증축한 건물과 경찰청 건물만 철거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전체 건물을 철거해 전라감영 복원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4)사업비 확보-전라감영부지에서 객관적인 유구나 유물이 발견되지 않아 국가 사적지 지정에 따른 국비지원은 어려운 실정이다. 만약 국가사적지로 지정된다 해도 전라감영 건물만 복원이 가능해 타 시설 건립이 불가피 하기 때문에 구도심 활성화 효과는 미흡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전통문화중심도시 사업에 포함하는 등의 국비 지원 대안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 2007년 당시 용역기관이 제시한 부분 복원 사업비로는 742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됐다.
5)전라감영지 소유권 이전-전북도와 전주시는 서로 상대방이 복원사업 추진 주체가 돼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도는 문화재 관리기관인 전주시가 사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시는 전라감영지 부지 및 건물이 전북도 소유인 만큼 도가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주시는 추진조건으로 토지 및 건물 소유권을 요구했고 전북도는 통합추진위 결정에 따라 도 문화재위원회 심의시 검토하겠다고 답변한 상태다.
추진위는 이와 같은 쟁점사안을 향후 지속적인 회의를 통해 정리, 최종 계획을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김영무기자·kimym@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