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광역경제권과 초광역권, 기초생활권 등 각종 개발계획을 내놓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2월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부품소재산업 등 호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 합의안을 지식경제부에 제출했다.
 또한 전북도는 서해안신산업벨트에 이어 동서연계내륙녹색벨트와 내륙첨단산업벨트 등의 구상안을 14일 관련 시·도와 함께 국토해양부 지역발전위원회에 공식 제출했다.
 동서연계내륙녹색벨트는 녹색성장의 패러다임에 적합한 남부내륙지역(덕유산권, 가야산권)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고 그 동안 남북축과 해안축을 중심으로 한 ‘□’자형 국토발전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동서 내륙지역의 성장기틀을 마련하는 한편 양 지역간 우호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한다는 것.
 내륙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새만금∼포항간 동서 7축을 중심축으로 전북과 대구, 경북 등 3개 시·도 26개 기초 시·군이 포함되어 있으며 도내에는 전주시와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정읍시, 진안군, 완주군, 무주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내륙첨단산업벨트는 지난 7월 전북과 강원, 충북, 충남, 대전 등 5개 시·도지사가 서명을 거쳐 제출했으나 국토해양부가 수립 가이드라인을 시달함에 따라 보완·수정 작업 후 이달 15일 다시 공식 제출된 것.
 하지만 현재까지 총 15조원 이상의 각종 개발사업의 재원조달 방안 등 후속조치가 나오지 않고 있어 기대감이 떨어지고 있다.
 더욱이 내륙 첨단산업벨트의 경우 특별법 제정 및 개정 등 기초적인 지원근거조차 마련돼 있지 않는가 하면 정부차원의 차별화 된 지역별 방향 설정도 미흡하다.
 벨트별 콘텐츠가 상당부분 중복돼 있어 추후 수정작업이 불가피하며 벨트별 특화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동서연계내륙녹색벨트의 공동구상 사업 역시 특별한 아이디어라기 보다는 기존 아이디어의 재포장 수준에 머물고 있어 구상 단계에서부터 실현의지가 엿보이지 않고 있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