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포기(?) 수순 밟나

정부가 내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을 본격화할 예정인 가운데 거래소 유치를 위한 지자체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그러나 전북도는 타 시·도에 비해 열악한 유치여건을 이유로 한발 물러서 동향만 파악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과거 ‘첨단의료복합단지’처럼 너무 빨리 포기하는 것 아닌가하는 우려 섞인 지적이다.
25일 도에 따르면 정부는 올 연말까지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을 위한 저탄소 녹생성장기본법안과 탄소배출권 거래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거래소 설립방안을 결정, 내년부터 입지선정 등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탄소배출권거래소는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등 온실가스 배출허용량이 할당되면 할당량 대비 잉여분과 부족분을 거래하는 곳이다.
이러한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전에 전국 시·도가 뛰어들며 사활을 걸고 있다.
부산은 공격적인 유치활동을 위해 유치추진위원회를 발족한 상태이며 다음달에는 세계적인 거래시스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거래소’와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또한 광주·전남의 경우 나주시에 조성되는 혁신도시의 한국전력거래소에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유치할 계획으로 지난해 9월 거래소 유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 공조체제를 갖췄다. 경북 역시 포항시와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포항테크노파크를 후보지로 유치 경쟁에 합류한 상태다.
이밖에 서울과 대구, 울산, 강원 등도 유치경쟁을 위한 탄소배출권 확보 등 다양한 대응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반면에 전북은 정부가 전력 또는 증권 등 유사한 상품거래소를 둔 지역에 입지를 선정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관련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점을 들어 동향파악에만 전념할 뿐 경쟁구도에서 발을 빼는 듯한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타 시·도에 비해 열악한 인프라 탓에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유치할 수 있는 명분찾기가 쉽지 않다” 며 “당초 새만금을 염두해 추진할 계획도 검토해봤으나 먼 미래 이야기이고 불리한 조건에 있는 만큼 정부 등의 동향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 탄소시장 규모는2010년에는 150조원, 2020년 1500조원으로 추정되며 국내 시장의 경우 2012년을 전후해서 4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