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금’을 식품산업의 틀에서 육성할 계획이어서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추진되는 전북도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특히 대량생산 보다 고품질화, 명품화에 초점을 맞춰 저장창고 등 시설개선은 물론 종합처리시설을 갖춤으로써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형성하는 한축으로 식품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2일 도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는 소금을 광물 차원에서 다뤘던 기존의 염(鹽)관리법을 소금 명인 지정과 식품산업으로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소금산업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 통과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는 단순한 천일염 생산이 아닌 소금산업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품질 고급화를 통해 명품소금을 생산하겠다는 것으로 농식품부는 이달 말에 소금산업발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총 염전면적 4158ha의 74%(2977ha)를 차지하고 있는 전남도는 소금박람회를 광주국제식품전과 동시에 개최, 지역 내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우수성을 국내·외 알리기에 나서는 등 소금산업 활성화에 뛰어든 상태다.
반면에 전북의 경우 외국산 소금의 수입개방 이후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현재 고창과 부안, 군산 등 295ha(전국의 7%)의 염전면적에서 고작 8000톤의 생산에 그치고 있어 양 보다는 고품질로써 경쟁력을 따져야 할 형편에 놓여 있다. 천일염 생산업체와 면적, 생산량이 타 지역에 비해 영세하지만 서해안 청정바닷물로 생산돼 깨끗하고 최고의 상품으로 알려져 있는 곰소소금, 고창소금 등을 중심으로 한 명품화, 특산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
무엇보다 정부의 소금산업 육성정책을 염두하지 않더라도 국가식품클러스터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상징적인 의미에서 명품화·고급화는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또 노후화된 소금창고를 개선하고 종합처리시설을 조속히 갖춤으로써 위생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정소금의 이미지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러나 도 차원에서 식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소금산업에 대한 대응방안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부가 소금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계획 수립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며 “아직 도 차원에서의 소금산업 대응책은 마련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