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탄소배출권거래소 등 국가공모사업에 대한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계속 뒤쳐지고 있어 특단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환경부는 전국 13개 광역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지역 단위 배출권 거래제 시범사업’을 도입하기 위해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를 시작으로 지역별 순회설명회를 개최했다.
 인천과 부산, 울산, 광주, 대전, 대구, 전남 등이 참여 지자체로 강력히 거론됐다.
 전북도 역시 한 때 참여의사를 밝히고 지역단위 배출거래제 시범사업 도입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이후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다가 급기야 최근에는 포기할 뜻을 내비치고 있다는 것.
 전북도가 새만금 앵커기관 중 상품거래소 유치에 있어 탄소배출권거래소를 포함시킨다는 전략이지만 정부의 공모사업 방침상 이후 참여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열악한 유치여건을 핑계로 이후 여론의 질타를 예상한 자포자기 수순이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 등이 지난 19일 광주시청 소회의실에서 탄소배출권거래소 광주·전남 유치 추진위원회 출범식 갖고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한 것과 대조를 보이는 대목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부산은 이미 공격적인 유치활동을 위해 유치추진위원회를 발족한 상태며 다음달에는 세계적인 거래시스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거래소와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경북 역시 포항시와 연구용역을 진행중이며 포항테크노파크를 후보지로 유치 경쟁에 합류한 상태다.
 이밖에도 서울과 대구, 울산, 강원 등도 유치경쟁을 위한 탄소배출권 확보 등 다양한 대응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전북도의 이 같은 추진력 부족은 새만금 4대 앵커기관 유치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내외 우수의료기관 유치에 있어서도 대구광역시와 경기도,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경합,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최근에는 국내 의료기관 유치쪽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전북도는 동북아개발은행 유치 전략 역시 동북아 금융질서 개편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법적 검토 문제 등이 뒤따르는 점을 감안해 장기과제로 계획을 바꿨다.
 동북아 교육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국제학교 설립에 있어서도 단기간 내에 유치가 사실상 어렵다고 판단, 지속적인 추진계획을 통한 유치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결국 대다수 추진사업이 이렇다할 시도도 이뤄지지 않은 채 장기과제라는 명목 아래 포기 수순을 밝고 있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