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화에 따른 부산물인 원도심 공동화는 인구와 사업체 감소, 주택 노후화 등 도시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전주시도 이 같은 원도심 공동화가 심각한 실정이다. 수십년 전부터 지속돼온 외곽 지역 개발은 신시가지와 조화로운 발전을 꾀하는 유럽의 원도심에 비춰볼 때 기형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27일 전주시에 따르면 외곽 개발 치중에 따른 원도심 쇠퇴 현상의 척도인 동별 인구변화는 중앙동과 풍남동, 노송동은 지난 1997년에 비해 10년 사이에 무려 20%가 감소했고 진북동, 서서학동, 금암 1·2동도 10~20%까지 줄어들었다.
또한 도심 경제를 이끌어 가는 사업체도 중앙동과 풍남동, 노송동, 완산동, 서서학동, 진북동, 인후2동 등은 최고 40%까지 급격하게 감소했다.
반면 개발 지역인 효자동과 서신동, 삼천동 등은 인구는 최대 100%이상, 사업체수는 최대 400%이상 급증했다.
60만명대 초반에 정체된 인구에서 외부 유입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채 공간이동만 하고 있는 전주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도 에서 외곽으로 멀어질수록 인구 및 사업체 공간구조가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처럼 원도심 공동화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외곽 중심 개발이 지금도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현재 개발이 완료되거나 진행예정인 택지개발 사업은 서부신시가지와 만성지구, 효천지구, 효자 4·5지구, 에코타운, 전북혁신도시 등 줄을 잇고 있다.
이 같은 택지개발사업들의 수용인구는 서부신시가지 1만2339명(4133세대), 만성지구 1만7500명(6030세대), 효천지구 1만2273명(4091세대), 에코타운 3만3000명(1만4000세대), 효자4·5지구 1만6670명(5560세대), 혁신도시 2만9000명 등 모두 12만 700여명이다.
즉, 현재 전주시 인구 64만명의 20%육박하는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셈이다.
외곽 개발을 통한 도시세 확대는 일면 도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이에 따른 인구 유입 요인이 갖춰지지 않은 채 진행되는 것은 결국 기존 인구의 공간적 이동을 초래함으로써 원도심 공동화를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택지 개발사업은 외부 신규 인구를 유입할 수 있는 산업단지조성이라기 보다는 주거공간 조성의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전주시 시정발전연구소 권대환 박사는 "최근 전국적인 도심 내 인구이동은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성장요인이 없을 경우 현재 진행 중인 택지개발사업 지구로 유입되는 인구는 기존 도심에서 충당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도시세 확대는 그에 걸 맞는 교육과 문화 등 정주 환경인프라가 함께 확충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무기자·kimym@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