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부도사태를 맞은 전일저축은행의 제 3자 매각설이 설득력있게 흘러나오고 있는 가운데 지역 내 우량한 향토기업이 인수해 외지자본으로의 흡수를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해지고 있다.
최근 향토저축은행이 줄줄이 외지자본에 넘어가는 상황에서 지역대표성을 가진 전일마저 외부기업에 인수된다면 지역 내 경제적·정서적 박탈감과 불안감이 가중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전일쇼크를 막기 위해 지역 정치권 등이 나서서 전북은행과 또 다른 금융권에 인수의사를 타진했다는 후문이다.
5일 전일저축은행 사태를 둘러싼 도내 경제계 등 지역여론에 따르면 전일쇼크로 인한 서민경제 피해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조속한 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실 전일이 자체정상화를 통해 영업을 재개해 고객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은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전일이 금융당국이 내린 시한인 두 달 안에 유상증자를 하려면 약 15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전일내 경영 형편상 매우 어렵고 희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체정상화에 실패할 경우 전일은 예금보험공사가 설립한 가교은행을 통해 매각절차를 밟게 된다. 이미 또 다른 향토기업으로의 물밑 인수작업이 진행됐으나 부실규모가 너무 막대해 인수협상이 타결됐다는 후문이다. 또 이 과정에서 국내 초우량 저축은행의 인수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가교은행을 통한 매각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공산이 커지게 됐다. 때문에 외지 자본보다는 지역 내 자금력을 가진 유력기업들이 인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 있게 나오고 있다.
한 경제계 인사는 “모 저축은행이 인수한다는 설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왕이면 도내에 있는 기업이 인수해 회생시켜 나가는 것이 지역경제를 위해서나 정서적으로 낫지 않겠느냐”며 “전일이 향토저축은행으로서의 명성을 유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도내 저축은행은 익산의 삼화, 남원의 유남 등을 합쳐 모두 9곳에 이르렀고, 불과 3년 전까지만 해도 익산 나라, 전주고려, 부안현대, 군산의 전북저축은행과 한일 등 7곳이 왕성한 영업활동을 펼쳐왔다. 하지만 이들 중 살아남은 은행은 스타저축은행 단 한 곳뿐이다./김은숙 기자myiop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