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쇼크...지역중소기업 줄도산 우려 확산

전일저축은행 영업정지 ‘쇼크’에 따른 파장이 지역경제의 기반이나 다름없는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더욱 부추기면서 줄도산 우려를 낳고 있다.
예금자 피해뿐만 아니라 전일과 대출거래한 도내 중소기업인 수가 2만여 명에 달한 것을 파악, 향후 이들의 대출금 및 어음의 만기연장 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전일과 예금보험공사,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전일로부터 대출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인 수는 1만 90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중 대부분은 1금융권 대출이 어려워 2금융권을 찾은 신용등급이 낮은 영세기업이다. 이들의 대출비율은 전체 여신규모인 1조1000억 원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자칫 채권 정리 과정에서 대출금 전액을 상환해야 하는 기업이 속출할 전망이다.
현재 예금보험공사는 6월30일까지 만기도래 어음 및 대출의 만기연장, 이자수납 등 일부 업무를 진행, 영업정지 기한 중 만기도래한 기업 등에 대해서는 10% 상환시 3개월, 20% 상환시 6개월 연장시켜주기로 했다. 하지만 가교은행과 함께 파산재단을 설립, 부실이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채권에 대해서는 기준에 따라 전부 파산재단으로 넘길 방침이다. 그럴 경우 기존 전일측과 거래하면서 만기연장에 협상이 가능했던 기업 상당수가 불량채권으로 분류, 대출금을 전액 상환하지 않을 경우 파산재단으로 이관된다. 이에 따라 신용등급이 낮아 대출금 상환 연장이 사실상 불가능한 영세소상공인들은 부도위기를 모면할 수 없고, 지역경제 미치는 영향 또한 예측할 수 없을 만큼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도내 유력금융권 한 관계자는 “전일이 특정 몇몇 기업에 큰 대출을 해줬다면 그 여파가 비교적 작지만, 다수의 중소기업들에게 분산됐다면 부실채권 정리 과정에서 지역경제에도 엄청난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전일이 정상적으로 운영됐다면 은행측과의 협상에 의해 만기연장이 가능했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절대적 잣대에 의해 부실채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환 압력은 물론 부도상황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예보 관계자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여파를 고려해 만기도래 대출이나 어음에 대해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며 “하지만 가교은행과 함께 파산재단이 설립되면 신용상에 문제가 되는 불량대출에 대해서는 채권회수가 안될 경우 파산절차를 밟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김은숙 기자myiop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