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동안 도내 의료업계에서 요양병원만 급증한 반면 출산을 위한 조산원은 단 한곳도 없고 산부인과 등의 의원들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노년층을 위한 노후 대책 인프라만 급증하고 있는 반면 저 출산 문제 타계를 위한 출산 인프라는 마련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1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도내 요양기관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도내 요양기관(약국포함)은 2005년 3087곳에서 지난해 3296곳으로 5년 새 6.77%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요양병원과 치과병원 등 일부 국한된 요양기관만 급증하고 있었다.

15종류의 요양기관 중 증가한 요양기관 종류는 종합병원과 병원 급, 요양병원(노년층), 치과병원 , 치과의원,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한방병원, 한의원, 약국 등 10곳이었는데 가장 많은 증가세를 보인 요양병원은 지난 2005년 16곳에서 지난해 59곳으로 5년 새 268%의 증가율을 보였다.

치과 병원의 경우 같은 기간 1곳에서 3곳으로 200% 늘었다.

나머지 증가한 8곳의 요양기관의 증가율은 대체로 1%대에서 10%대까지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소폭 증가에 그쳤다.

특히 조산원은 2005년 0곳에서 단 한곳도 늘어나지 않았으며, 서민들 의료서비스 제공에 가장 밀접한 보건소와 보건지소, 보건진료소는 증가가 없거나 1∼2% 소폭 증가율에 그치는 등 출산여건이 제대로 구비되지 않고 있었다.

진료과목별 의원 현황에서도 이 같은 현상은 두드러졌다.

2005년도 1012곳의 의원이 지난해 1042곳으로 늘어났지만 이중 산부인과는 오히려 같은 기간 68곳에서 60곳으로 8개 의원이 문을 닫았고 유아와 어린이들을 위한 소아청소년과 역시 78곳에서 71곳으로 줄어들었다.

이 같은 통계는 출산기피로 이어질 우려나 타 지역으로 원정출산을 하는 등 인구증가의 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의료업계 특정 진료과목 편중 개원, 전문의 쏠림현상에 따른 의료업계만의 1차적인 문제가 있지만 아무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산장려 정책을 내놓는 다 해도 그에 따른 의료 인프라가 없다면 그 정책은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백세종기자·103bell@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