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근로 프로젝트에 이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추진 중인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에 청년들의 참여율이 저조해 실질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부분의 사업이 단순 노동에다 임금 수준도 낮아 당초 정부의 실업자 및 전문기술인력 우선 고용 등 정책 목표의 실종(?)에 대한 지적이 높다. 또 일부 사업은 청년층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임에도 청년이 없어 사업추진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6일 전북도에 따르면 행정안정부가 희망근로 프로젝트의 후속사업으로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전북지역은 지난달 말 현재 3802명이 농촌일손돕기와 지역자원개발, 녹색성장 촉진, 저소득층 및 사회적약자 지원 등 4개 유형 13개 단위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실업률 감소 차원에서 미취업자(29세 이하)에 대해 총 고용인원의 20%까지 우선적으로 선발토록 했던 방침과는 달리 전북지역은 고작 4.3%에 불과하다.
참여 유형별로 취약계층이 3580명으로 전체의 94.1%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취업자는 고작 165명에 그쳤다. 또 안정적인 일자리와 소득증대를 위한 전문성을 갖춘 기술인력의 참여인원도 57명(1.5%)에 불과해 사업의 본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미취업자의 참여는 전주(55명)와 군산(18명), 정읍(17명), 김제(18명), 완주(20명) 등 5곳만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을 뿐 나머지 시·군지역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무주는 아예 단 한명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 같은 현상은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역시 야외에서 실시하는 단순한 노동 위주로 펼쳐지고 80~90만명의 낮은 임금 수준 탓에 희망근로와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미취업자들의 학력 등 특성은 물론 지역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점도 큰 이유다.
이와 관련 향토자원조사 및 복원사업에 청년층 참여자를 주로 배치하고 있지만 청년들의 참여율이 낮아 사업 자체가 겉돌 공산이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청년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비롯해 실질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대안을 조속히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의 목소리다.
도 관계자는 “농어촌 시·군지역은 청년층이 적어 참여율이 저조한 상황”이라며 “시·군별 우수사례 등을 모니터링한 뒤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