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재건축ㆍ재개발 조합 상당수가 시공사 선정에 애로를 겪고 있다.
이는 도내 부동산 경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분양성을 담보할수 없는 데다 건설사 상당수가 도급제를 원하는 반면 재건축ㆍ재개발 조합원들은 대부분 지분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입찰공고를 내고 시공사 선정에 나선 재건축·재개발 조합들이 시공사를 찾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748세대를 신축하는 전주 물왕멀 구역 재개발 사업은 해당 조합측이 지난 2008년부터 4차례에 걸친 입찰공고를 냈지만 선뜻 시공에 나서겠다는 건설사를 찾지 못한 상태이다.
전주 종광대2구역 재개발 사업도 2차례 입찰공고를 냈지만 현설 참여사가 1곳뿐이어서 자동유찰돼 3차 공고를 기다리고 있다.
종광대 2구역 재개발 사업지는 조합원간 분쟁이 없어 모범 사업지로 꼽히고 있는데도 시공사를 찾지 못했다.
사업방식을 표기하지 않은 채 입찰공고됐던 전주 우아주공1단지 재건축사업(1026가구)의 경우 현장설명회에는 쌍용건설, 금호건설 등 10개 건설사가 참여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 건설사는 사업방식이 도급제인 것으로 오인하고 참여했다가 조합에서 지분제라고 밝히자 발걸음을 되돌렸다.
지분제는 아파트 시공사가 사업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만큼 계약시 조합원의 무상지분율을 확정하는 동시에 조합원들의 추가부담을 줄이고 각종 행정처리나 공사관리, 감독 등의 업무부담을 덜 수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반면 건설사들은 지분제가 시공사가 조합원에게 신축 아파트의 일정 면적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사업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가져가기 때문에 큰 이익을 볼 수 있지만 리스크를 감수해야만 한다. 특히 주택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섣불리 지분제를 선택했다가 낭패를 볼 수 있는 것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주택경기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건축 사업 대부분이 지분제를 요구하는 것도 건설사들이 지방 사업지를 외면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주 재건축조합 한 관계자는 “재건축 사업의 경우 조합원들이 위험부담을 느낀 나머지 도급제가 아닌 지분제를 선호해 왔다"며 "그러나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조합원들이 지분제가 아닌 도급제로 추진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상일기자 psi535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