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새만금 투자를 성공적인 새만금 내부개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새만금특별회계는 물론 R&D 연계를 위한 전문 교육시설 유치 및 건립, 정주여건 인프라 지원, 관련 중소기업의 성장지원 등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1일 전북발전연구원이 발표한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지역경제 효과와 전망’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의 그린에너지 분야 새만금 투자결정으로 해외 및 국내에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그린에너지 산업부문에서의 전라북도의 경쟁력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그린에너지 산업부문의 가치사슬의 형성이 가속화되고 그에 따라 새만금이 명실공히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그린에너지 산업의 메카로 성장하게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새만금 내부개발의 속도를 더 높여야 한다는 점이다. 새만금종합개발계획에 따르면 총 사업비 22조 1900억원 중 2020년까지 1단계로 13조 20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정되어 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예산 확보방안 및 예산투자계획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민간자본의 투자유치 등 새만금 지역내 투자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 제시된 국비 약 12조원과 그에 대한 세부적인 투자계획을 확보하기 위한 새만금 특별회계의 설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인력 확보 및 R&D 연계를 위한 전문 교육시설 유치 및 건립필요성도 제기된다. 그린에너지 산업과 같은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관련 인력확보가 곧 경쟁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기술대학 중심의 교육이 이뤄져야 하고 관련 연구기관의 전북유치 내지는 신규 건립도 요구되고 있다.
 새만금 지역 내 의료와 교육 등의 정주여건 인프라 지원도 필요하다.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고용유발효과가 장기적으로 약 8만 5732명에 달하는 만큼 도시 및 정주여건 조성을 위해 SOC와 의료, 교육 등 기초 인프라에 대한 기본계획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관련 중소기업의 성장지원 방안도 필요하다. 새만금 주변에 그린에너지 관련 중소, 중견업체들이 입주할 수 있는 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고 대기업과 중소 및 중견기업의 동반성장 방안 모색도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삼성과 정부는 지난달 27일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 투자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공식 체결했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