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잠했던 금강 하굿둑 해수유통 문제가 또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오는 22일 서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금강하굿둑의 해수유통을 주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금강하구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론회가 열리는 것.
 특히 이번 토론회를 주관하는 금강비전 기획위원회는 금강이 장기적인 발전정책을 기획하고 연구하기 위해 지난 4월 출범한 단체로 사실상 금강하굿국의 해수유통을 추진하는 조직이기도 하다.
 충남도는 그동안 금강의 수질을 살리기 위해 금강하굿둑 200m를 철거해 하굿둑에서 12km까지 바닷물을 유입해 생태계를 복원하자고 주장해왔다.
 이날 토론의 주제발표에서도 ‘금강하구역 해수유통 방안과 미래 전망’ 등이 포함되는 등 해수유통의 당위성을 광범위하게 논의할 알려졌다.
 이같은 충남도의 움직임에 전북도에서는 당장 맞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충남도의 주장대로 금강 하굿둑 일부를 철거하고 해수를 유통시킬 경우 김제와 익산 완주일대 4만3000ha 농경지에 공급하는 농업용수 1억7700만톤과 군장국가산단에 공급하는 공업용수 2900만톤에 대한 확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도는 이에 따라 충남도의 주장을 절대 수용할 수 없음을 강력히 표명해왔다.
 농림수산식품부도 이와 관련해 이미 2년전인 2009년 2월 연간 3억6000㎡에 달하는 막대한 양의 용수 공급과 4000ha의 토지에 대한 침수피해 방지 등을 위해 금강하굿둑은 현재대로 존치되어야한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농식품부는 당시 금강하굿둑을 철거하고 해수유통을 할 경우 농업용수 6만ha(전북과 충남 포함)와 군장국가산단 공업용수 연간 2200㎡(현재는 2900㎡)을 공급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6만ha의 농경지에 대체 농업용수를 공급하려면 수혜면적 200ha 기준으로 저수지 300개소를 축조해야하며 이에 따른 비용만 6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고조위 때 상수 홍수량이 내려올 경우 호소내 수위 상승으로 저지대인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근 4000ha에 침수도 예상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금강하굿둑의 해수유통 문제는 국토부와 농식품부 등이 참가한 가운데 이미 일단락되었던 문제로 정부에서도 해수유통을 반대하는 입장이 분명한 만큼 전면 대응하는 형태는 피하겠다”면서도 “하지만 토론결과를 보고 부당한 부분이 있다면 대응수위를 맞출 것”이라고 말해 토론내용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박은영기자·zzukk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