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오봉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요즈음 너무 건강하고 젊어 보여 65세 이상을 노인이라 부르기에 민망할 때가 많다.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약 540만명으로 전체인구의 10.9%이다. OECD는 우리나라 노인 인구비율이 2030년 24.3%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같은 해 노인 인구비율이 31.8%로 증가할 일본 다음으로 우리가 세계 2위의 초 고령 국가가 될 예정이다. 우리 사회가 다가올 초 고령화 사회를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 자문해 보고 싶다. 이것이 단지 남의 일이 아닌 미래 우리의 일이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적인 문제(41%)와 건강문제(40%)를 꼽고 있다. 경제적인 문제는 복지와 일자리 문제에 연관돼 있다. 충분하고 완전한 대책은 아니지만 복지는 기초연금 지급 등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청년 일자리 문제도 해결을 못하고 있는 마당에 노인 일자리 창출에는 정부도 뾰족한 대책이 없는 것 같다.
 최근 국민건강 보험 공단의 발표에 의하면 2013년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가 무려 18조 565억원으로 전체 의료비의 35.4%를 차지하고 있다. 1인당 평균 진료비도 연간 314만원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 1인당 평균 진료비 연 102만원의 3배를 넘었다. 한마디로 노년 인생이 병들고 일자리가 없어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달픈 것이 작금 우리의 현실이다.
 대학에 몸담고 있는 필자의 입장에서 나름대로의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 일자리는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청장년 시절의 경험과 노우하우를 좀 더 발전시켜 알맞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맞춤형 재교육이 필요하다. 최신의 직업과 일자리에 관련된 컨텐츠와 시설이 잘 갖춰진 대학이 노인의 재교육 및 전환교육을 담당해야한다.
 그동안 정부는 대학과 산업체간의 산학협력에 많은 노력과 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산학협력이 중소기업과 대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대학이 노령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 대학이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실버 협력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대학은 현재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정원 조정의 위기를 맞고 있다. ‘실버 대학생’을 교육하는 평생교육기관으로 대학 일부를 전환하면 이러한 위기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다양한 계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종합 해결책’을 제공하는 대학이 미래 대학의 모습이다.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에게는 일자리 교육을 시키고 새로운 흥미분야의 공부를 원하는 노인에게는 그 분야를 가르치도록 대학을 지원하면 된다.
 많은 사람들이 나이들 수록 인문·사회학과 예술 등을 찾게 된다. 많은 지식과 경험을 가진 대학교수와 함께 배우는 문학, 동서양의 철학과 역사 공부에 빠져있는 실버의 모습은 너무도 아름다울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젊은 대학생과 실버대학생이 같이 공부하는 인문·사회학의 부흥기가 도래할 수 있다.
 방학 중에는 학기 중에 배웠던 역사의 현장을 방문하는 실버 역사기행을 생각하면 어렸을 적 수학여행을 기다리는 것과 같이 가슴이 설레인다. 을지문덕과 강감찬이 천하를 호령하던 그 곳을 방문한다. 거기에 서서 하얀 머리카락을 흩날리고 대금을 연주하며 옛 향기에 취하면 실버가 서글픔이 아닌 멋진 삶으로 변할 것이다.
 지금처럼 병원을 전전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피동적인 삶에서 벗어나게 해줘야 할 책임이 정부에 있다. 적극적이고 좋아하는 분야의 대학 공부를 즐기면 삶이 더 젊어지고 활기차게 된다. 그래서 노인 의료비를 10% 절약하게 되면 약 1조 80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 예산으로 노인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을 지원하면 대학 특히 인문·사회학도 더욱 건강하게 된다. 또한 노인 복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예산도 확보되는 선순환 구조로 결국 국가가 건강하게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