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의 금융 사고는 해마다 늘고 있지만 사고금액 회수율은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서민금융기관의 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등 금융당국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새정치민주연합 신학용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사 금전사고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은행, 중소서민, 금융투자, 보험 등 금융사에서 발생한 횡령 등의 금융사고액은 1조 7740억 원이다.

이 중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지급정지’ 등의 조치를 통한 회수 예상액은 8442억 원으로 47.6% 불과하다.

사고금액별로는 운용자금 규모가 큰 은행권이 1조 3463억 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서민금융 3239억 원, 증권 850억 원, 보험 188억 원 순이다.

반면, 사고금액을 얼마나 되찾았는지를 보여주는 회수율은 증권이 11.6%로 가장 낮고, 중소서민금융 17.3%, 은행 56.6%, 보험 84.9% 순이었다. 회수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사고 발생 사실을 뒤늦게 발견하고 후속조치도 제 때 취하지 못한 탓이라는 것.

사건발생 건수로 살펴보면, 저축은행․상호신용 등 서민의 돈을 관리하는 중소서민금융이 횡령을 비롯한 금전사고의 사고건수가 가장 많았다. 2012년 77건에서 2013년 69건으로 소폭 줄어드는 것 같았으나, 지난해 82건으로 다시 늘었다. 실제 지난 5년간 총 929건의 금전사고 중 중소서민금융업은 348건으로 37.5%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2010년 연간 191건이었던 금융 사고는 2013년 167건으로 줄어드는 듯 했으나 지난해 204건으로 다시 늘었다.

문제는 서민금융기관의 금융 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운용자금이 큰 은행권에 비해 규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고금액이 두 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회수율도 17.3%에 불과해 금융회사의 내부통제시스템에도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도내 한 금융권 관계자는 “서민금융기관의 금전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회수율은 은행 등에 비해 훨씬 낮은 상황”이라며 “사고가 난 후에 감시체계가 느슨한 데다 후속조치도 제때 못하고 있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신학용 의원은 “신뢰를 먹고 사는 금융기관에서 이처럼 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회수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은 내부통제 시스템의 총체적 부실을 의미한다”며 “금융당국이 확실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