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늙어가는 전북 농촌을 살릴 수 있는 대안으로 수도권 40~50대 귀농·귀촌 유입책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북으로 귀농·귀촌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던 40~50대가 주도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특색 있고 차별화된 프로그램 발굴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6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으로 귀농·귀촌한 가구는 총 4285호로, 이는 전국 귀농·귀촌 가구수(4만4586호)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전북으로 귀농·귀촌을 선택한 가구 중 귀농전 지역별 거주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이 1141가구(26.6%)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 736가구(17.2%), 인천 183가구(4.3%)를 기록하는 등 수도권 지역 주민들이 48.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점유율은 50대가 31%로 가장 높았으며, 40대 24.2%, 30대 이하가 19.3%를 기록해 40~50대 비율이 무려 55%이상에 달했다.

도내 귀농·귀촌 인구는 지난 2011년 1247가구가 귀농·귀촌한 것을 비롯해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면서 지난해는 4285가구가 귀농·귀촌해 4년 새 3배이상 증가했다.

이중 도내에서 이동한 1381가구(32.2%)를 제외해도 귀농·귀촌 10가구 중 7가구 정도는 타지역에서 순수하게 도내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도내 시·군별로 귀농·귀촌 인구에 큰 격차를 나타내고 있어 지역별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귀농·귀촌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의 경우 고창군으로 이주한 귀농·귀촌 가구가 862호로 가장 많았고, 완주군 747가구, 부안과 정읍, 김제, 남원 등이 400~500가구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부권인 무주와 진안, 장수를 비롯해 순창군 지역은 상대적으로 귀농·귀촌 가구가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도내 귀농·귀촌 한 전문가는 “귀농·귀촌 인구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맞춤형·테마별 지원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라며 “귀농·귀촌 정책이 안착될 경우 지방의 자체 수입이 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귀농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지난 21일부터 시행, 귀농 후 3년 이내에 자연재해 등으로 영농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귀농인에게 창업·주택자금, 시설·장비 임대, 개보수 등의 정책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