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대출상환 능력이 부족한 영세 소상공인들이 늘면서, 전북지역 보증사고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보증사고율이 높아지는 것은 전북지역의 펀드멘탈이 취약함을 의미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일 전북신용보증재단(이하 ‘전북신보’)의 보증사고 부문을 살펴보면,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원금 및 이자 연체에 따른 평균 사고발생금액은 284억 4900만 원이며, 사고 발생율은 같은 기간 평균 7.55%로 집계됐다.

사고발생액을 살펴보면, 2013년 319억 여원에서 지난해 305억 여원으로 소폭 개선됐지만, 여전히 전국적으로 보면 사고율은 전국 최하위권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도내 보증사고율이 높은 이유는, 전국 대비 취약한 경제 상황 때문. 대출을 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상대적으로 실제 대출 상환 능력이 눈에 띄게 느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보증사고율도 덩달아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북신보의 설명이다.

전북신보에서는 사고발생에 따른 정상화를 위해 원인 분석 등 대출 상환 유도를 위해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 사고 정상화율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올 연말 예상되는 사고 정상화율은 40.4%로 3년 평균(39.06%)보다 1.34%p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북신보 관계자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면 순사고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보증사고를 정상화로 끌어올리기 위해 개선에 힘쓰고 있지만, 도내 경기 상황 등을 고려해 보면 쉬운 상황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지역 경제전문가들은 도내 보증사고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특히 전북 지역의 경우, 펀드멘탈이 취약함에 따라 작은 여파에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자체에서도 영세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서민금융기관의 인력 충원 및 규모 확대를 통해 정상화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다.

도내 지역 경제 전문가는 “보증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도내 서민금융기관의 상황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보증 사고율을 낮추려면 좀 더 현실적이고 다각적인 방안이 필요하며, 일시적이 아닌 지역경제 구조를 기초부터 튼튼하게 하기 위한 실질적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밝혔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