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농촌의 인구 유입 지속 가능성을 위해 귀농귀촌인의 원활한 정착과 초기 정착 실패 요인을 줄이는데 정책이 집중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농정포커스'를 통해 귀농귀촌인 정착 실패 및 시행착오 가능성을 줄이는데 집중해 농촌 유입인구를 늘려가야 한다고 밝혔다.

농경연은 농촌마을 공동화 문제에 대응하고 지역공동체 활성화에도 귀농귀촌인의 역할이 필수인 만큼, 먼저 이들의 정착을 도와야 6차산업화 등 농촌 활력화 사업이 완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농식품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부족, 지역사회 갈등 문제로 도시로 다시 역귀농하거나 타 농촌으로 재이주한 귀농귀촌인이 한 곳 농촌에 머문 기간은 평균 2.11년이었으며, 그나마 이들 중 46.7%는 첫 거주지에 머문 기간이 1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농경연은 귀농귀촌인에게 이주 후 정착 비용 부담 완화 및 단기 소득제공 시책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귀농귀촌인의 정착 초기 애로사항 1위가 소득 부족 문제인데, 단기적 준비로는 농업에서의 즉각적인 소득이 어려운 만큼, 지역사회 일자리 참여 기회를 적극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역사회 활동과 연계해 여성일자리도 마련하고, 농촌형 임대주택 조성을 확대하는 등 초기 거주 비용을 줄이는 시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귀농귀촌인과 지역사회의 상생을 강화하는 정책도 지속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농경연은 "농촌 이주 도시민의 정착 실패 가능성 및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귀농귀촌 성공 사례의 홍보 강화도 중요하다"며 "아울러 지자체는 창업농과 연계해 젊은 층의 농촌 정착을 지원하는 등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귀농귀촌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설정해야 최종 정책 성공에 다가설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또한 지역사회 상생 방향으로 현장 시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자체를 유도하고, 농촌지역 주민들에게도 이런 정책 취지를 인식할 기회를 적극 제공해야 농촌 활성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14년 전북지역으로의 귀농 및 귀촌은 각각 1,204가구, 2,499가구로 증가 추세를 이어오고 있는 가운데 2015년 귀농귀촌 인구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지자체의 다양한 정착 지원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