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정부와 전북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집요하게 ‘역간척(逆干拓)’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양 도간의 상생협약이 물거품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4일 전북도 및 한국농어촌공사 등에 따르면 최근 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은 충남도청 브리핑실에서 충남도의 보령호 역간척 사업추진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했다.
이날 농어촌공사는 농업용수 확보와 침수피해, 예산낭비 등을 이유로 역간척 사업추진의 반대 입장을 설명했다.
농어촌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충남도의 역간척 계획은 사전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사항이다”면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목표인 농업용수 확보와 저지대 침수피해, 환경 및 안전문제 등의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역간척 사업이 추진되면 땅속에 매설된 254km의 용수관로가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저수지 8개(200만톤 규모)에 해당하는 농업용수 1551만톤을 확보할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홍성·보령호 주변의 843ha의 저지대 농경지가 해수유통시 침수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충남도는 금강 수계 활용 등 농업용수 확보 방안과 용수관로 재사용 등 대안이 이미 마련됐다면서 지속적인 역간척 사업 추진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지난달 27일 충남도는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통해 보령호와 서산 고파도 폐염전을 역간척 시범대상지로 선정해 발표했다. 충남도는 보령호 역간척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금강하구연 역간척 사업으로 확대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남도의 역간척사업은 사실상 해수유통으로 이번에 농어촌공사가 역간척 반대이유로 밝힌 규모보다 훨씬 더 큰 농업용수 부족과 침수피해, 새만금 수질개선 차질 등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지난 2012년 국토부가 실시한 금강하구역 생태계조사 및 관리체계 구축 연구 용역 결과에 따르면 금강하구둑의 해수유통시 농경지 2만3000여ha에 대한 농업용수 공급원은 물론 계획 용수량 확보 대안이 없어지며, 금강 주변 7000ha에 달하는 저지대의 상습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또한 새만금 수질개선 2단계 보완대책에서 금강호 희석수 도입 방안이 결정됐는데 역간척이 추진되면 새만금 수질 개선 보완대책도 사실상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더 큰 문제는 지난해 유례 없는 가뭄이 발생해 충남도 서부 8개 시군 주민 48만여명의 생활용수를 담당하는 보령댐의 저수율이 20%대로 떨어지자 백제보 하류 금강물을 1일 11만5000㎥씩 공급한 바 있다.
도 관계자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등이 빈발하는 상황에서 대안없는 해수유통 전제의 역간척사업은 인근지역의 현안과 산업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종합적인 판단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