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신생 기업 10곳 중 7곳은 5년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신생 기업의 생존율도 해마다 낮아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15일 통계청의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도내 기업들의 1년 생존율은 58.3%로 전국 평균 60.1%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적으로 대전(57.1%), 충북(57.6%), 광주(57.7%), 강원(57.8%) 등과 함께 평균 생존율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2013년 소멸된 도내 기업의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6518개로 가장 많았다. 특히 적은 자본으로 손쉽게 창업이 가능한 치킨집이나 커피숍 같은 음식·숙박업이 4826개로 뒤를 이었다. 은퇴자나 희망퇴직자 등이 생업을 위해 창업에 나서지만 현실에선 외식업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이 은퇴자의 무덤이 되고 있는 셈이다.
도내 기업은 2013년 한 해에만 2만3150개가 창업했다. 그러나 같은 해 2만605개 기업(89.0%)이 문을 닫아 10개 기업 중 9개 기업이 1년간 소멸됐다.
반면 2013년 17만1074개의 도내 기업은 2014년 17만8892개로 7000여개 이상 늘어나면서 소멸과 동시에 그 숫자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의 평균 생존율은 시간이 갈수록 더 떨어진다. 도내 기업들의 2년 생존율은 46.1%, 3년 36.2%, 4년 30.5%, 5년 후 27.3%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창업 후 5년 후에는 도내 10개 기업 중 7곳은 폐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도내 기업체들의 생존율이 낮은 것은 그만큼 지역의 경기침체가 심각하다는 방증으로 정부와 지자체의 각종 창업·정책자금이 확대되면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이 일단 창업 후 폐업하는 등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무분별한 공급위주의 창업지원 정책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창업자 혜택을 우선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내 한 창업 전문가는 “퇴직자들이 준비 없는 생계형 창업에 내몰리지 않도록 재취업·전직 기회를 넓혀야 한다”라며 “창업의 방향을 박리다매·출혈경쟁형 저부가가치 레드오션 업종에서 고수익·고부가가치 블루오션 창업으로 틀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생멸 행정통계는 기업의 신생·소멸과 관련된 변화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사업자등록, 부가세, 법인세, 근로소득지급명세서 등 행정 자료를 활용해 집계된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