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10월 15일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에서 문을 연 전라북도립국악원. 강산이 세 번 변하는 동안 거대하고 세련됐던 건물은 낡고 볼품없어졌지만, 단원들은 내로라하는 원로가 됐고 전주는 국악의 고장으로 단단하게 자리 잡았다.

전북도립국악원의 지나온 30년의 과정과 의미, 나아갈 300년의 방향이 한 권의 책에 담겼다. 전북도립국악원 30년사 <다져온 30년 꽃피울 300년>은 10년 주기로 발자취를 정리하는 국악원사의 일환으로 10년사 <소리 지키고 소리 내리고>, 20년사 <전통, 그 미래를 열다>에 이어 세 번째다.

‘사진으로 보는 30년’을 비롯해 ‘발자취’ ‘이야기보따리’ ‘현황’ 순으로 구성된 책은 사실 위주로 간략하게 나열하는 건 전과 동일하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대중의 눈높이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일단 사진을 수록하거나 연도별, 월별, 날짜순의 실단별 행사를 실고 조직, 직원, 공연, 연수생 현황을 다루는 등 기록물로써의 성격을 유지한다. 여기에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예술단 정기공연의 ‘실’과 ‘과’를 덧붙여, 창조적 실패사례를 개선의 자양분 삼고자 한다.

이야기보따리의 경우 국악인 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쉽고 재미있게 국악원을 알아갈 수 있도록 마련됐다. 제시된 대안이나 과거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명사 칼럼 ‘국악원에 바란다’, 추억의 원로교수 탐방, 오늘을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 국악원을 지켜온 사람들의 사연, 국악원에 얽힌 도민의 사연이 그것.

전 공연기획실장인 김정수 전주대 교수는 “새로운 원장이 부임할 때마다 창작한 작품 대부분은 짧은 기간 동안 번갯불 콩 구워 먹듯 제작돼 일회성에 그친다”라며 “소재 독창성과 지역성을 살리는 한편 낯익고 가능한 공연형식을 발견해야 한다. 장기적 기획과 발상의 전환을 통해 전북에 오지 않으면 볼 수 없는 공연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했다.

나금추 전 민요‧농악반 교수는 “우리 때는 시간강사부터 시작했고 주간 선생이 야간까지 수업했다. 김유앵, 홍정택, 김형순, 조재수, 이일주 선생님이랑 수업 끝나고 이런 저런 농담도 하고 그랬다”며 추억을 더듬었다.

특히 지난 8월 국악원 실단장 집담회 내용을 전한 ‘오늘을 만드는 사람들’이 눈길을 끈다. 현재 국악원을 만들어가는 이들로써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제시 또한 현실적이다.

곽승기 원장은 “우리의 실력이나 능력만큼 외부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거 같다. 국악이 활성화되려면 개개인의 실력 향상은 물론이고 이를 도민들에게 잘 알리는 게 중요하다”라고, 유상록 공연기획실장은 “역사에 걸맞은 공연 기획 제작 및 지원시스템을 갖춰나가는 게 과제다. 실원들이 외부공연을 좀 더 봐야 우리 것이 더 정확히 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창극단은 어린이부터 어른들까지 두루 즐길 수 있는 쉬운 창극을, 무용단은 도내 관립단체들과의 백제 아이콘화를, 관현악단은 협력공연보다는 독자적 공연을 계획 중이다.

창극단원인 고양곤은 “2001년 상임직원 118명 전원 계약만료로 해고됐다. 노동조합 출범은 필연적 수순이었다. 처절한 투쟁과 함께 거리로 나앉은 4개월의 공백을 끝으로 2002년 4월 입단오디션을 거쳐 복귀했다. 본격적인 창극배우의 길로 들어서는 소중한 계기”라고 회상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