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의 전주 이전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근 전북 밖의 언론들이 '기금본부 전주이전' 때리기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금융전문지 등이 기금본부의 전주이전에 지속적으로 토를 다는 내용들인데, 전북도민으로서는 혹여 기금본부의 '공사화' 불씨가 살아날까 우려스럽기만 하다. 전북 정치권이 외소해지고 있는 반면, 부산 등 차기대선의 핵심변수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곳에서 야권 구도가 요동치고 있는 만큼 정권교체에 따른 '기금본부 공사화 논의 금지'를 확신할 수도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권주자들의 PK 및 서울에 대한 구애가 절실해 지거나, 개헌으로 정권 구도가 급격히 변할 경우 기금본부의 전주 위치도 흔들릴 수 있음이다. 이에 전북 정치권 및 도민들은 이들의 교묘한 흔들기를 일축할 수 있는 논리로 무장하고, 기금본부가 전북혁신도시에 완전히 정착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기금본부 서울 잔존 시도를 무너뜨릴 사실들과 기금본부 전주 정착을 위해 전북이 해야할 일들을 짚어본다./
▲최근 여론의 기금본부 공사화 불씨
최근 전북지역 이외의 언론들이 기금운용본부의 일부 팀장급 인력들이 사퇴하고 있음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그러면서 해외 MBA 출신 펀드매니저들이 사퇴하는 이유로 '기금본부의 지방이전'을 크게 부각시킨다.
최종적으로 이들의 사퇴는 국민들의 노후자금 500~600조원 운용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낸다.
기금본부의 지방이전 소식으로 펀드매니저들의 이직율이 조금 상승한 결과가 연금 600조원의 안정성을 크게 훼손할 수도 있다는 논리다.
또한 타 언론들은 2015년 연금 수익율 4.6%가 2016년 4.3%로 떨어졌는데, 핵심 운용인력들이 빠져나가면 이 수익율이 더욱 떨어질 수 있다는 논리도 편다.
대내외적 변수들로 인한 수익율 하락이 마치 몇몇 운용역들의 일시적 이직 때문에 발생하는 것처럼 읽혀지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최근 기금본부 팀장급들의 민간 자산운용사로의 이직은 예정된 수순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금본부에서 충분히 경력을 쌓은 고급인력들이 때가 무르익어 높은 연봉과 고위급 직책을 제안받고 민간 자산운용사들로 스카웃되고 있다는 것이다.
▲끝날 것 같았던 '공사화' 시도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여당 정치권과 여의도 금융가에서는 기금본부의 전주 이전을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전북 이외의 지역이나 수도권에서는 기금본부를 '공사화'를 통해 서울에 잔류시키거나, 기금 핵심운용부서만이라도 서울 사무실에서 근무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이러한 분위기는 여당, 특히 한국증권거래소가 있는 부산권 정치인들의 기금본부 유치 의지와 맞아떨어지며 '공사화' 논의가 활발했었다.
여기에 당시 친박계 김재원 의원 등은 기금운용본부의 공사화 법안을 발의했었고, 청와대와 보건복지부 등은 '공사화' 시도의 배후로 지목되기도 했다.
당시 전북 정치권 등은 기금운용본부가 박근혜 정부의 대선공약임과 동시에 주소지가 법으로 정해졌다며 '공사화' 논란을 잠재우려 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야권 및 도내 정치인들이 '법대로'를 주장하며 기금본부의 '서울 잔류' 주장을 애써 외면하는 동안 여권 및 여의도 금융권은 '공사화' 불씨 당기기를 지속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장관을 노골적으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에 내려보냄으로써 기금본부 '공사화'를 위한 사전 포석을 깔았다.
문 이사장은 '기금본부 공사화론자'로 지목된 대표적 인물이다.
아울러 지난해 초 여대야소 분위기 속에 '공사화 법안' 처리를 강행하려는 분위기까지 포착됐다.
다행히 지난해 총선 결과가 여소야대 구도로 변하면서 기금본부의 '공사화' 분위기는 한 풀 꺽였고, 최근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등에 관여된 혐의로 문형표 이사장이 구속되면서 기금본부의 '공사화' 불씨는 꺼진 것처럼 보인다.
더욱이 야권으로의 정권교체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2월 기금본부의 전주 이전은 순탄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끝나지 않은 불안
그럼에도 여의도 금융권이 끊임없이 전주 이전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고 있고, 이에 편승한 타 지역 언론과 경제지 등이 기금본부 전주 이전으로 인한 인재 탈출, 이로 인한 연금 운용 수익율 하락 우려 등을 빌미로 전북혁신도시로의 안착에 딴지를 걸고 있다.
최근 '기금본부의 핵심 인력들이 전주로 이전한다는 소식에 대거 사표를 내고 있다'는 논리가 유행처럼 경제지 등에 게재되고 있고, 수익율 하락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핵심 운영인력의 서울사무소 잔류가 해법인 것처럼 억지 논리로 포장되고 있다.
또한 지방이전으로 인해 우수인력 확보가 어렵다는 식의 결론은 마치 전주 이전이 국민연금의 안정성을 허물 수 있다는 논리로 귀결되고 있다.
전북으로서는 상당히 노골적이며 악의적인 내용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에 전북지역 전문가들은 악의적 시도에 조목조목 반박할 수 있는 논리로 무장하고, 기금본부가 전주에 완전히 정착할 수 있도록 도민 모두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