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성반영한 농촌인구 대책 필요

농촌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에 따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귀농·귀촌의 영향으로 농촌 인구감소 추세가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입지 조건 등에 따라 인구 증감 형태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북의 경우도 지난 2010년~2015년 사이 산업체가 증가한 군산시와 전주시 인근의 농촌지역인 완주군의 인구가 증가했다. 주목할 부분은 전주시와 멀리 떨어진 순창군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인구증가율을 기록했고, 장수군과 고창군도 인구가 증가한 지역이라는 점이다.
이처럼 대도시와 멀리 떨어진 농촌지역에서도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대도시와의 접근성 외에 지역특성에 따라 인구증가도 가능하다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 저성장 기조 속에서 대도시 인근보다 농촌 전반으로 기회를 찾아 이동하는 귀농·귀촌 움직임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지역별로 정주 수요에 대응하는 농촌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농촌지역 읍의 경우 인구 증가가 있는 반면 면지역은 인구 감소가 나타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단순히 농업부문에 의존하는 면지역은 인구 감소가, 농업 이외의 경제활동 영역이 많은 읍지역은 인구 감소율이 적거나 인구가 증가한 것이다. 여기에 귀농·귀촌 인구가 해당지역 경제활동 다각화를 선도하면서 새로운 인구를 유인하는 결과까지 얻어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북연구원도 농촌지역 인구 증가를 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했었다. 그 중 하나가 ‘면단위 생활경제권 활성화’였다. 농촌 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농촌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안이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제시한 마을 여건에 따라 필요한 핵심 사업을 추진하는 중장기적 전략, 마을간 중심마을과 연계마을 등을 통한 통합발전 전략과 함께 인구 과소화지역의 기능 상실에 대응하는 정책 대안으로 의미가 있다. 여기에 농촌지역에서 증가하는 다문화 가족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 대도시에 비해 열악한 교육 환경의 개선, 농촌 일자리의 개발 등 농촌지역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고민이 더해진다면 좀 더 나은 농촌인구 증가 대책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