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구제역 공포 2차 피해 막아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가금류축산에 큰 피해를 입힌데 이어 구제역이 우제류축산까지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어 축산업계 위기가 커지고 있다. 3개월 간 AI로 살 처분된 가금류가 3천3백만 마리가 넘는다. 전국 가금류의 20%에 이르러 그간 최대 AI 피해를 냈던 2014~15년 1천9백만 마리의 2배 가깝다.
 구제역 피해도 심상치가 않다. 열흘이 못돼 살 처분된 젖소와 한우가 1천여 마리에 이른다. 뒤늦게 백신 접종 등 방역에 나서고 있지만 2010~11년 354만 마리 살 처분의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다.
  가축 전염병 확산에 대한 우려는 비단 축산농가 직접적인 피해에 그치지 않는다. 축산농가서 사육된 가금류와 우제류는 도축과 가공 유통과정을 거쳐 가정과 식당에서 최종 소비된다.
  AI와 구제역 등이 발생하면 축산 농가가 직접 피해를 입는 것은 물론이지만 도축과 가공, 유통과정과 식당 등 관련 산업 전반에 피해가 확산된다. 인체 유해 우려 때문에 소비가 급격이 줄어 특히 가공 판매업체와 식당 등에 줄도산 피해가 이어진다. 규모에 있어 2차 피해가 축산농가의 1차 피해보다 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I 발생 후 닭오리 소비가 크게 줄면서 가공 공장들을 비롯 전국의 치킨점 등이 도산 직전까지 몰렸다는 비명이 높았다. 구제역 발병 이후 소고기 소비는 물론 감염 우려 때문에 우유 소비까지 줄어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축산 농가의 1차 피해는 100% 수준의 정부 보상으로 회복이 가능하나 가공 및 유통과정의 2차 피해는 회복이 막연하다.
  그런데도 당국은 AI와 구제역이 인체에는 피해가 없다는 설명만으로 소극적인 대처로 일관하고 있다. 사실에 있어서도 이들 가축전염병이 인수공통질병이 아니어서 전혀 우려할 게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장담이다. 가공 조리 과정의 가열로 바이러스가 소멸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광우병 사태 때 보았듯이 우리 소비자들은 가축 전염병에 대한 가히 공포 수준의 우려를 갖고 있어 발생만 하면 이들을 외면한다. 정부가 나서 소비자들에 인체 무해 사실을 확신시켜 2차 피해 확산을 막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