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예총 전주지회(이화 전주예총)가 ‘전주시장과 함께하는 정담’을 개최한 것과 관련, 접근 방식과 태도가 아쉽다는 지적이다.

2017년 사업을 알리고 나눈다는 취지와 달리 사업은 눈에 띄는 게 없는 반면, 운영비 증가와 사무실 유지보수를 요구하는 등 의무는 다하지 않고 권리만 주장하는 격이라는 것.

전주예총이 24일 백송회관에서 ‘2017년 전주시장과 함께하는 정담’ 간담회를 개최했다. 첫 선을 보인 정담은 전주예총 관계자들이 예산을 지원하는 전주시 관계자에게 1년 계획을 소개하고 지역 문화예술 발전방안을 나누는 장이다. 분기별 4회 진행할 예정이다.

여러 문제로 주춤했던 전주예총이 개선의지를 갖고 적극적으로 소통 및 홍보하려는 마음가짐은 바람직하나 방법은 아쉽다는 지적이다. 거듭 거론해 온 운영비 부족과 낙후된 사무실을 또 한 번 개선해 달라 했으나, 정작 사업은 예년과 비슷해 취지마저 의심스럽다고 입을 모은다.

전주예총은 비가 세고 비좁은 사무실에 대해 리모델링, 이전, 신축 같은 여러 안을 제시했다. 현 운영비는 2,475만 원이지만 실제 운영비는 약 3,882만 원이고 다른 시군의 경우 군산예총 4천만 원, 김제예총 4천만 원, 정읍예총 3천만 원 선이니 추경을 통해 1천만 원을 확보해 달라 했다.

한 문화예술관계자는 “전주예총이 자신들도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주문화까지 논하긴 어려울 것. 결국 예총 얘기 듣고 도와달라는 거다. 그건 그럴 수 있다. 헌데 대상이 운영비와 사무실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면서 “여러 차례 제안하다 안 되니 회원과 기자들까지 동원해 공개적으로 압박한 거 아니냐. 여기저기 적힌 ‘시장님 사랑합니다’ ‘적극적인 협조 부탁드립니다’ 식의 노골적인 글귀도 불편했다. 과거의 미숙한 방식”이라고 말했다.

반면 사업은 부실하다고 꼬집었다. 12개안이 나왔지만 평소와 비슷하고 신설사업 4개 중 일부는 실현이 불투명하다. ‘전주예술제’는 3,420만 원에서 5천만 원으로 예산이 소폭 올랐고 신설 프로그램인 ‘제주도(서귀포시) 예총과 문화교류’로는 9백만 원을 확보했다. 선거문화제, 보훈문화제, 한마음마당제, 전주시예술상은 대행 성격이라 고정적인 편이다.

신설사업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예술인들을 돕는 ‘노인 일자리 사업’과 해외에 가서 공연 및 봉사하는 ‘해외봉사’는 예산이 확정되지 않았다. 전주시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사업 혜택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노령연금 수급자로 정해져 있다, 해외봉사는 예총 자비로 간다 들었다”고 답해 시행여부가 미지수다.

과거 1억 안팎의 지원금엔 못 미치나 회복세에 있는 간판프로그램 ‘전주예술제’를 알차게 꾸리는 게 급선무라는 건 이 때문.

복수의 문화예술 관계자는 “어려운 상황인 건 이미 알고 안타깝게 생각한다. 의욕적인 것도 좋지만 현실적이고 신중하게 대응해야 실현 가능성도 높아진다”면서 “할 일을 다 하고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을 때 뭔가를 말할 수 있는 거다. 판을 늘리기보단 주어진 것들을 내실 있게 채우는 게 먼저”라고 조언했다.

심재기 전주예총 지회장은 “실추된 전주예총의 명예를 조금씩 찾아가고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시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리가 먼저 변해야 한다는 걸 잘 알고 있다. 전주예술제와 제주예총 교류, 베트남 봉사활동에 주력하겠다”고 답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