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들의 수천 년 주식 곡물인 쌀이 국민 식생활의 급변으로 인한 소비절벽 앞에서 쌀값 폭락 등 정부로서도 제어가 어려울 정도로 한계 상황을 빚어내는 것 같다.  쌀 주산지대인 농도 전북으로서는 여간 심각하지가 않다.
  한국농촌경제원이 2017년 양곡연도 기준 우리 국민들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을 59.6kg으로 내다보았다. 하루 소비량 163g으로 한 공기를 120g으로 치면 하루 밥 한 공기 반도 다 먹지 않는다.
  1인당 쌀 소비량은 1984년 130.1kg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내리막길을 걸어 2012년 70kg대로 떨어진 뒤 5년 만에 60kg대마저 무너진 것이다. 농촌경제원은 10년 뒤 2027년에는 50kg대마저 다시 무너지는 47.5kg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현재도 쌀 소비 절벽으로 인해 정부의 온갖 쌀 산업 농정이 한계에 부딪치면서 헛돌고 있다. 올해도 여의도 면적의 120배 3만5천여ha에 이르는 벼 재배면적 감축 등 쌀 생산 억제시책을 펴고 있으나 쌀 생산은 여전히 소비를 넘는 과잉으로 재고미가 200만 톤에 이른다.
  쌀값이 뒷걸음질을 칠 수밖에 없는 일이다. 지난해 수확기 산지 쌀값 평균이 80kg 가마당 12만9천711원으로 전년도 15만659원 보다 14%나 떨어졌다. 1995년 이후 21년 만에 농민들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13만 원선이 무너진 것이다.
  정부는 올해 산지 쌀값을 벼 40kg 포대 당 4만5천원으로 보고 공공비축미 및 시장격리곡 우선 지급금을 지급했으나 실제 값이 3만5천원으로 폭락했다. 30년 전 수준이다. 그 바람에 과잉 지급금 환수를 놓고 농가들과 공방전을 펴고 있는 판이다.
  쌀 관련 정부 보조금 총액이 WTO 협정 한계 1조4천900억 원을 넘어서 자칫 제소 당할 처지의 정부도, 쌀값 폭락으로 망연자실한 농가들도 더 이상 물러서기가 어려운 참담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쌀 산업의 한계상황이 개선될 것 같지가 않다. 날로 서구화로 치닫고 있는 국민 식생활 패턴이 쌀 주식으로 되돌아가 소비가 늘어날 가망이 적다. 쌀값 폭락을 막을 길이 보이지 않는다.
  정부 당국도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끄기에 급하다. 소비절벽에 부딪친 쌀 산업이 암담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