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도정의 핵심사업인 ‘1시군 1생태관광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업 시행 3년차를 맞았지만 일부 시·군의 비협조와 무관심으로 인해 당초 기대와 달리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재용 전북도 환경녹지국장은 2일 도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전라북도와 14개 시·군이 추진하는 생태관광지 조성사업에 일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달 안에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맞춤형 컨설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전북도의 이러한 방침은 2016년~2024년까지 추진하는 생태관광지에 매년 8억 원씩을 지원해 왔지만 생태관광 취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일부 문제가 지적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도는 지난 2015년 14개 시·군에 MP(종합개발계획) 수립을 위해 1억 원, 지난해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8억 원을 지원한 바 있다.
그러나 사업이 시작된 지 올해로 3년차를 맞았지만 각 시·군마다 사업추진 속도와 부지선정 등에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실제 전주시의 경우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사업대상지 조차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당초 전주시는 삼천천을 검토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전주천으로 사업부지를 변경했다. 그나마 전주천 역시 생태관광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도출되면서 제3의 사업대상지를 검토 중에 있다.
김제시 역시 해당사업을 ‘김제 벽골제 종합개발계획’과 병행해 추진하다 보니 사업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사업비는 모두 이월된 상태다.
이외 부안군은 부지선정이 사업취지에 맞지 않게 채택됐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정상적인 사업추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도는 생태관광 취지에 맞고 효율적인 예산 사용을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세부사업을 조정하거나 사업비 지원방법 등에 대한 과감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도는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14개 시·군을 선도모델, 성장지원, 가능잠재 등 3개 유형으로 구분해 예산을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즉, 선도모델 지역의 경우 예산이 집중투자 되는 반면, 가능잠재 지역은 지원이 중단돼 사실상 퇴출 수순에 들어설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사업이 추진된 지 3년차를 맞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업대상지를 물색하지 못하는 지역이 있는 등 시·군별로 상이하게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 전반에 대한 점검을 통해 세부사업 조정, 사업비 지원방법 등에 대한 과감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