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전북문화관광재단이 지역협력형사업 종합평가 용역과 관련, 업체 선정 공고를 미루는 등 지난해 문제를 되풀이해 논란이 일고 있다.

공고가 늦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충분히 경험했고 5월 평가 대상 행사들이 몰려있음에도 늑장대응은 여전하다. 재단 업무방식이 원인이라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재단은 21일 ‘2017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지역협력형사업 종합평가 및 만족도 조사용역’을 공고했으며 5월 2일까지 접수하고 제한경쟁 입찰해 5월 12일 우선협상대상자를 통보한다. 사업은 9개 분야 289건, 소요예산은 5,380만 원이다.

작년 4월 29일 공고하고 5월 16일 통보 예정한 것과 시기적으로 비슷하지만 상황이 다르다. 출범과 업무 이관 등 교체기 속 4월 초 지역협력형사업(구 문진금) 공모를 마무리 짓고 같은 달 평가 용역을 공고한 전과 달리, 2월 28일 지역협력형사업 공모가 끝났음에도 두 달여 지난 지금에서야 공고를 시작했다.

이유야 어쨌든 올해도 스타트에 실패,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지난해를 보면 2번의 모집이 불발돼 수의계약을 진행, 7월에야 평가 및 만족도를 실시했다. 현장이 아닌 대체 점수가 늘어 형평성이 제기됐으며 종합평가는 폭 넓을 뿐 깊이가 없었다.

이번엔 어떨까. 한 번에 뽑힌다면 해당 단체는 방법과 지표를 재단과 협의해 조정해야하며, 분야별 위원을 선정 및 교육해야 한다. 평가는 빨라야 5월 말 시작할 수 있을 거다.

현재는 우진문화재단의 ‘판소리 다섯바탕의 멋’을 포함해 5개 정도 놓치지만 문화예술행사가 몰리는 5월이 지나면 현장을 살필 수 없는 프로그램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신청서와 인터뷰로 대체 심사한다.

현장 평가한 프로그램들과 비교한다는 거 자체가 형평성에 어긋날 뿐 아니라 종합평가 수준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당장 뽑혀도 문젠데 유찰로 인한 재공고와 수의계약까지 갈 수 있다. 일에 비해 비용이 적다는 의견이 많고 도내에서 용역을 실행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서다. 최악의 경우 7월이 될 수 있고 그리 되면 상반기 현장 검증은 없다시피한다.

한 문화예술관계자는 “지난해 혼란기였음에도 문화예술인들이 직간접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처음 시도한 종합평가가 내실이 없어 크게 비난받지 않았나. 잘못된 지점을 파악했고 예방 가능했음에도 판박이처럼 한 치도 다르지 않다는 게 놀라울 뿐”이라며 “규모나 금액은 예년과 비슷하니 1월에 일찌감치 하든가 지역협력형사업이 끝나자마자 하면 되지 않나. 이쯤 되면 재단 문제 같다”고 꼬집었다.

재단에는 실제로 비슷한 사례들이 존재한다. 최근 개막한 ‘떴다, 심청’은 전년 10월 말에야 주제를 공개하고 12월 대본 공모가 불발되자 이듬해 2월 연출자를 섭외했다. 2달여의 짧은 준비기간은 모호한 정체성과 낮은 완성도로 직결됐다.

전북예술회관에 조형물을 마련, 랜드마크로 거듭나겠다며 시행한 ‘공공미술 레지던스 프로젝트’. 두 번의 불발 끝에 1곳이 지원했으며 지난 1월에야 마무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외벽의 기존 설치물들로 인해 위치를 옮겨, 원했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재단 업무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거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누군가 검토하거나 지적하지 않은 채 미비점을 답습하는 종합평가도 예외는 아니다.

담당인 문예진흥팀 인력이 정규직 2명, 기간제 2명이지만 팀장 외 인력이 교체되고 업무를 총괄하는 사무처장이 4개월째 공석인 것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재단 관계자는 “지원 사업 결과가 나온 뒤 관련 민원과 업무를 처리해야 하고, 협력형사업이 완료되면 거기에 맞춰 평가 용역을 줘야하기 때문에 지금 하게 됐다. 작년처럼 되진 않을 것”이라며 “기간을 앞당길 수 있는 건 사실이다. 좀 더 서두르겠다”고 답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