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부터 공동주택 미분양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빗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3 부동산 대책 이후 불과 6개월 만에 분양시장이 작년의 과열 분위기를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선 이후 5월 중순부터 분양 폭탄이 쏟아지고, 하반기 아파트 입주가 집중적으로 이어지면 분양 열기는 가라앉을 것이란 예측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한국감정원의 전국 주택매매가 상승률 추이를 보면 11월 대책 발표 이후 집값 상승세가 꺾인 적이 단 한번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올 3월 기준 전국 청약자수는 오히려 34만4,531명으로 부동산 열기가 한창이었던 2015년(21만4,754명)과 작년(18만9,684명)을 크게 웃돌았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전망이 엇나갔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당초의 전망은 2015~2016년 폭발적인 분양 열기가 지나가고, 중소형 주택공급이 꾸준히 이뤄지면서 올해 들어서는 분양시장에 서서히 찬바람이 분다는 시나리오였다.
하지만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가격은 지속 상승했고, 주택 수요도 지속되면서 1분기 일부 분양시장이 과열되기도 했다.
전주 효천지구의 경우도 당초 고분양가 논란을 몰고 왔으나, 3월 실제 분양은 20대1의 경쟁율을 보일 정도로 시장은 과열됐다.
아울러 조기 대선 탓에 올 1분기 분양승인 물량(5만2,137가구)이 전년대비 19.2%, 일반분양 물량(3만3,553가구)이 24.6%나 감소한 것도 과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재건축 등으로 멸실 주택은 늘어나는데 건설사들 역시 대선 이후로 주요 분양 일정을 연기하면서 공급이 줄다 보니 일부 단지에서 폭발적인 청약경쟁률이 나왔다는 분석도 있다.
이 때문에 5월 대선 이후 시장이 크게 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대선 연휴가 끝난 이후 20여일 동안 무려 5만9,600여 가구의 분양 진행을 준비하고 있다.
분양 폭탄이 떨어지는 셈인데, 이때 단지별 양극화가 발생할 것이란 게 관련업계의 시각이다.
여기에 올해 전국 입주물량 38만8,747가구 중 하반기에 60%(23만1,676가구)가 진행될 예정으로, 분양 시장을 가라앉힐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와 함께 4월부터 도입된 새 대출 심사 지표 DSR(총부채상환능력)를 적용하면 중도금 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이 어려워 분양 시장을 가라앉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내 공인중계업 한 관계자는 "중도금 대출 실행이 어려워지고, 유력 대선주자들의 부동산 시장 규제가 발표되면 분양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