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전주공예품전시관 기증작품의 행방을 모르는 등 관리, 감독 소홀로 도마 위에 올랐다.

전주공예품전시관 기증작 54점 중 13점이 확인되지 않으며 기증작 외 소재를 파악할 수 없는 작품도 10여점이다. 2013년 소리문화관 기증품을 도난당한 데 이어 분실하자 전주시 문화시설 물품 관리가 허술한 거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기증은 2004년 공예인 54명의 50만 원 이하 공예품 54점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최근 기증작가 일부에서 작품 보관 여부를 물었고, 공예품전시관 기획관 사무실을 찾은 결과 전체 54점중 5분의 1에 해당하는 13점이 사라졌음을 확인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본인이 찾아갔거나 작품을 바꿔 갖다놨고 오래돼 폐기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으나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몇몇 기증작가는 “공예관이 생긴다는 게 행복해 너나 할 거 없이 기증했는데 이렇게 관리하면 누가 자식 같은 작품을 주겠나”라며 “당시 기증품 총 가격이 2,700만 원 가량이지만 문화재가 된 분들도 있고 돌아가신 분들도 있어 값어치가 달라졌을 거다. 돌아가신 분들의 작업은 돈을 떠나 더는 없는 건데 그 가치와 의미를 어떻게 보상할 거냐”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작품이 없어졌음을 알게 된 작가 일부는 전혀 몰랐다는 반응을 보이는가 하면 되돌려 받았다고 했는데 전주시는 이것마저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서류상으로 보면 (사)한지문화진흥원(2002년~2004년)에서 전주대 산합협력단(2005년~2013년)으로 수탁단체가 바뀔 때는 기증작이 인수인계됐으나, 전북공예협동조합(2014년~2016년)이 수탁할 때는 협약서에 기증작 목록이 없다. 기증작 외 10여점도 발견됐으나 서류상 존재하지 않아 어떤 경로로 유입됐는지 알 수 없다.

전주대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한지문화진흥원에서 받은 품목을 그대로 시에 전달했다”고, 전북공예협동조합 관계자는 “창고에 있는 걸 본 적은 있지만 인수 인계받은 적은 없다”고 전해 없어진 시기와 책임주체를 알 수 없지만, 전주시의 잘못이 가장 크다는 게 중론이다.

위탁기관으로서 수탁기관이 운영 중인 시설 전반을 관리, 감독해야 하나 소홀했으며 특히 인수인계가 부실했다고 주장했다. 전주시는 수탁기관이 교체될 때 중간에서 인수인계를 진행하는데 현장조사 없이 서류로 처리하다보니 오류가 발생한 것.

한 문화예술관계자는 “전 단체가 현 단체에게 인수인계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생계와 자존심이 걸려 있다 보니 양측 감정이 격해질 때가 많다. 전주시가 인수인계해야 한다면 전 단체에게 현장에서 꼼꼼히 내용을 전달 받은 다음, 현 단체에게 같은 방식으로 전달해야 한다. 그래야만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2013년 소리문화관에서는 직원이 근무 중이었고 CCTV가 커져 있었음에도 유품을 도둑맞았다. 이번에는 잃어버렸다. 부채문화관, 소리문화관, 완판본문화관을 비롯한 전주시 문화시설들의 유물이나 작품도 안전하지 않을 거고 기증문화도 위축될 거란 우려감이 무리는 아니다.

전주시 관계자는 “인수인계 과정에서 소홀했단 건 인정한다. 하지만 문화시설에 기증한 작품은 해당시설에서 관리한다는 지침이 있고, 전시관이 한옥마을사업소에서 문화정책과로 이관될 때 기증작 목록을 받은 적이 없었음도 고려해 달라”면서 “앞으로 문제점을 보완할 거고 기증작 재정비와 보관, 활용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