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를 내세운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미래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특히 새 정부로서는 지난 정부의 실패한 정책으로 평가받는 ‘창조경제’ 추진 시스템인 혁신센터를 현재처럼 운영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이런 가운데 새 정부가 일자리 정책 일환으로 청년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기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새롭게 개편해 활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혁신센터를 ‘국민 아이디어 창업허브’로 개편, 더 많은 국민이 새로운 아이디어로 사업 모델을 발굴해 사업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창업 문턱은 낮추겠다는 의도다.
문제는 새 정부가 창조센터 이름을 바꾸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성과 없이 ‘유령 센터’처럼 운영되는 곳은 과감히 구조 조정하는 통폐합을 계획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별로 운영되고 있는 18개 혁신센터를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 센터 중심의 광역단위로 통합해 운영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이럴 경우 전북혁신센터의 경우 광주·전남으로 통폐합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난 2014년 11월 정식 개소한 전북혁신센터는 효성을 매칭 기업으로 해서 탄소산업과 농생명 관련 산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최근 언론 보도를 통해 전북혁신센터가 지역특산품 판매 수준이라는 혹평을 받은 만큼 통폐합을 주도하기에는 어렵지 않느냐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그동안 출범 2년 반이 넘도록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센터의 역량 부족이 결국 통폐합 국면에서 불리함을 자초하게 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인구와 예산 등 출발부터 앞선 광주나 전남센터를 전북과 평면 비교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센터 통폐합을 도민 정서를 반영한 ‘전북 몫 찾기’ 차원에서 바라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전북 몫 찾기’의 필수 요소는 ‘자강’이라는 점이다. 전북혁신센터가 그동안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면 통폐합을 걱정하는 입장이 되진 않았을 것이다. ‘기울어진 운동장’ 탓으로 전북이 많은 손해를 보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여기에만 매달린다면 전북 발전은 요원해 질 것이다. 밖으로는 ‘전북 몫 찾기’를 주장하면서도 스스로 힘을 키우는 일에도 전력을 다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