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전북지역 농촌에서 노인들은 병들어가고 있다. 늙어 아픈 몸을 이끌고 모자란 일손을 메우려 노력하다 보니 각종 병이 몸에 붙는다. 늘고 병든 것도 서러운데 가까운 곳에 병원이 없어 날을 잡아 도심으로 버스원정 진료에 나서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농어촌 발병률은 32.8%로 도시의 24.2%에 비해 크게 높다. 더욱이 답답한 것은 고혈압·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앓는 확률이 도시에 비해 높고, 발생 기간도 길다. 어쩔 수 없이 도심으로 버스를 타고 검진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얼마 전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활발할 때 통합 버스요금 인하가 완주군 노인들에게 큰 관심사이기도 했다.
도시에 비해 농촌의 보건의료 인프라는 한참 뒤떨어진다. 2015년 기준 전체 보건의료 기관 수는 농어촌이 도시의 8분의1 수준에 그친다. 종합병원 수는 11배까지 차이가 난다. 전북도가 군산의료원과 남원의료원을 운영하고 있지만, 거점 병원 역할이 힘에 부친다. 또한 김제, 정읍 등에 준 종합병원 급 민간의료시설이 있다고 하지만, 도내 곳곳 농촌에서 가까운 종합병원으로 가려면 버스를 1시간 이상 타야 하고, 차로 달려도 30분 이상인 곳이 60% 이상이다. 더욱이 특정 질환을 잘 고친다는 병원이 대부분 전주에 있어 시골 노인들이 전주를 찾는 일이 매우 잦다. 농사도 힘든데, 병원 다니느라 고생이다.
농촌 2인 이하 가구비율 전국 2위, 1인 가구 비율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초 고령화 사회인 전북 농촌에는 농사와 병원 검진을 혼자 해결해야 하는 홀로노인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당연히 이들의 불편은 더욱 크다. 농촌에 '홀로어르신 공동생활가정' 사업이 필요하다.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지자체가 세세하게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침 문재인 대통령이 농어촌 보건 공공서비스를 확대하고, 농촌 형 마을택시를 도입하며, 농어촌 어르신 공동주거·급식시설 확대 등을 대선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전주시 등도 농촌 형 마을택시 도입을 시도하고, 시골과의 버스요금 단일화 논의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동안 지원해 왔던 마을 경로당 상당수를 공동주거나 급식시설로 활용할 수도 있다. 농업재해보험 직원, 우체국 직원, 사회복지사 등이 홍보 및 관리 등 가교역할을 맡을 수도 있다. 농촌이 편해야 귀농·귀촌 인이 유입되고, 이어지는 많은 혜택을 인근 도시가 받게 됨을 인정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