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이나 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도내 30-40대 여성들이 재취업 일자리 제한과 함께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은 경력단절 여성 비율이 전국평균(44%)보다 훨씬 높은 가운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저출산 극복을 위한 지자체의 여성 일자리 정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9일 행정자치부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전북 전주시와 함께 2015년과 2016년 워크넷에 등록된 도내 구인·구직 데이터 46만 건을 분석한 결과, 직장경험이 있는 여성 가운데 결혼과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은 73%였다. 10명 가운데 7명이 결혼과 육아 때문에 직장생활을 지속하지 못한 것이다.
 실제로 여성가족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 직장에서 1년 이상 일한 비율이 경력단절 이전에는 82%였지만, 경력단절 이후에는 45%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반면, 1년도 채 일하지 못하는 임시 근로자는 10%에서 25%로 두 배 넘게 높아졌다.
 또한 이들이 재취업시 구직자의 대부분이 경리사무원, 총무사무원, 사무보조원 등 단순직종을 희망하고 있으나, 실제 대부분은 단순생산직이나 주·야 2교대 근무, 근속 기간이 짧은 콜센터 등 일자리 제한을 받고 있었다.
 재취업을 고민 중인 전주 중화산동의 서 모(38)씨는 “결혼 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아이를 낳고 10년을 쉬다가 재취업 했지만, 계약직 일자리 밖에 구할 수 없었다”며 “직업이 안정돼 있으면 좋겠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 같다”고 푸념했다.
 저임금도 이들 경력단절 여성들을 힘들게 하는 요소인데, 이들이 재취업시 월급여가 30대는 61만원, 40대는 83만원 감소해 경력 단절이 일정부분 임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업체 대부분의 경력단절 여성의 급여는 월 130만원에서 160만원 수준으로 조사됐으며, 여성가족부의 조사에서도 경력단절 여성들은 계속 일한 여성보다 월평균 76만원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도내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가 현재 고용시장에서 경력단절 여성 채용이 단순화된 노동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자체가 직접 나서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역 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대안책을 제시하고 있다./양승수기자·ssyang0117@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