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가뭄 현상이 심해지면서 경기 충남 전남 지방서는 피해가 심각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전해진다. 전북서도 남원 등 일부 지역에 가뭄이 없지 않으나 피해를 우려할 정도는 아직 아니라고 알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5개월 간 전국 45개 지점의 평균 강수량이 166.5mm로 평년 313.4mm의 54%라 발표했다. 서울경기 46% 전남 42% 충남과 경남 각 55%와 53%로 크게 부족했고 전북은 68%였다.
  모내기도 못하거나 밭작물이 타들어간 가뭄 지역 피해 면적이 5천450ha에 이른다. 일부 지역은 생활용수 부족으로 차량과 헬기까지 동원되어 물을 나르는 등 비상 상황이라고 전해진다.
  한국농어촌공사의 전국 저수지 평균 저수율이 56.2%로 평년 72.5%에 크게 못 미친다. 경기 37.4% 충남 43% 등으로 크게 낮으며 일부는 저수지가 아예 바닥을 드러냈다고 한다.
  국민안전처가 6월 가뭄 예.경보를 통해 7월 중에도 강수량이 적으며 8월을 넘어서야 예년 강수량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여름 가뭄 현상의 장기화가 예고되고 있는 것이다.
  가뭄이 지속되면 당장의 비상 용수대책의 시행은 물론 보다 근원적인 대책의 강구가 거론되는 게 당연하다. 지하수 개발이나 도수로 개설 등으로 인접 저수지 물을 끌어 쓰거나 생활용수를 소방차로 실어 나르는 등이다.  
  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적인 긴급대책이다. 보다 근본대책은 강에 보나 댐을 막거나 계곡에 저수지를 확대 건설해 도수로 등으로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게 기본이다.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물주머니를 키워 가능한 최대한의 물을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쓰게 하는 게 정석이다.
  연간 강수량 태반이 여름 한철 장마 때에 집중되어 물주머니 확대가 가장 절실한 게 우리나라다.
  그런데도 지금 4대강에 건설해 대량의 물을 가둬 둔 보(洑)의 물을 ‘빼라’는 환경단체와 ‘안 된다’는 농민들 사이에 분란이 한창이라고 전한다. 가뭄 장기화에 대비하는 근본대책이라면 오히려 보를 더 높여 더 많은 물을 저장해야 하는데도 말이다.
  물 부족 국가서 벌어지는 이 기이한 소동은 머지않은 날에 아무런 대책 없이 맞게 될 물 부족 대란을 예고해주는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