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늘리기를 위한 문재인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가시화 되고 있다. 추경예산 대부분을 공공 일자리 확충을 위해 집중 투입키로 하고 문대통령이 국회의 협조를 얻어내기 위해 직접 국회를 찾아 시정연설을 했다. 청와대로 국회상임위원장들을 초청, 재차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공공부문에 한정돼 있던 일자리 창출을 민간부문으로 확대하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단체를 찾아 잇따라 간담회를 개최키로 했다. 일자리 확대 정책을 관정민으로 급속히 확산시키기 위해 청와대가 전방위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모든 국정 최우선 과제로 이 문제를 추켜든 건 물론 일자리 늘리기를 통한 경제안정을 담보하지 못할 경우 국가경제가 심각한 국면을 맞을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반영된데 따른 것이다. 구직자 10명중 6명이 양질의 일자리는 고사하고 비정규직이라도 일할 수 있는 기회만이라도 얻었으면 좋겠다는 절실함으로 직장을 구하고 있는 지금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되겠다는 절실함이 더해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이나 기업의 적극적 동참이 이어진다 해도 정작 지방에 까지 이 같은 의지나 효과가 얼마나 미칠 것인가를 두고선 적지 않은 회의적 시각이 대두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예산을 투입하고 정책적 지원을 병행하는 가운데 기업을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제공되는 쌍끌이 경제회복 노력이 가시화돼야만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그리고 반드시 그렇게 돼야 한다는 바람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공공부분의 일자리 창출이 특정지역이 아닌, 전국을 상대로 한 고른 혜택의 원칙을 배제할 수 없는 게 현실이고 지역의 민간기업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북과 같은 위기의 지방도시들은 기대치의 한계부터 떠올릴 만큼 열악한 상황이다. 지난해 매출액기준 1000대기업 가운데 전북에 본사를 둔 기업은 14개였고 그나마 100대기업은 단 한곳도 없는 지역이다. 민간부문 일자리 확충노력에 회의가 들 수밖에 없는 이유다. 
청년실업문제에서부터 유난히 높은 비정규직비율 낮추기에 이르기 까지 지역 현실을 감안한 일자리창출 정책의 반영이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세심한 정책적 배려와 함께 지자체의 세심하고 능동적인 노력이 병행되지 않으면 새 정부 일자리 창출은 남의 나라 일이 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