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가 당장은 물론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는 가뭄에 대비해 농업용수 공급 특별대책 시행에 들어갔다고 한다. 농촌공은 수자원공사와 함께 물 관리 관련 공기업으로 농업용수를 맡고 있다.
  상반기 전국 강수량은 예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전국 저수지들 저수율도 예년의 70%대에 훨씬 못 미치는 50%대 아래라 한다. 서울 경기 충청 등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가뭄이 심각하다고 들린다,
 국민안전처가 7월 중 강수량도 예년보다 크게 적을 것이며 8월 들어서야 강수량이 회복되어 가뭄이 풀릴 것으로 내다보았다. 예보대로라면 가뭄 피해의 확산이 불가피하다.
  농업용수 전담의 농어촌공사가 가뭄 장기화로 인한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한 비상대책에 들어가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도 올해의 경우, 특별히 주목을 받는 것 같다. 정부 당국이 가뭄대책에 무관심한 듯 하고 있어 물 관리 공기업들의 고군분투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상적이라면 정부가 당장의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관정파기 하천과 기존 저수지 바닥 준설 등 단기대책을 마련하고 저수지와 보 및 댐 증설과 양수와 급배수로 등 수리 시스템 건설 등 근원적인 장기대책을 발표해야 한다.
  그러나 올해는 정부가 말이 없다. 피해가 극심한 일부 지자체들만 단기 대책들을 시행하는 정도다.
  가뭄 피해가 크지 않은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국가 치수사업의 전형이라 할 4대강 사업을 환경파괴라 비판하고 보를 높여 물을 더 가둬야 할 가뭄에 가둬둔 물마저 빼버리도록 한 정부가 자가당착에 빠진 탓 아닐까 한다.
  한국은 UN이 지목한 물 부족 국가다. 강우량 태반이 여름 한철에 집중되어 수자원 총량 1천240억 톤 중 517억 톤이 증발하고 723억 톤이 하천으로 흘러든다. 이 물을 저수지와 강과 하천의 댐과 보에 가둬 생활 및 농공업용수로 써야 하는 게 한국이고치수(治水)의 본령이다. 증설은커녕 기왕의 댐과 보를 철거해서 어쩌자는 것일까.
  정부가 치수의 기본을 깨닫고 제자리에 서게 될 때까지 물 관리 공기업들의 사명이 막중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