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경제 및 사회 상황에 대한 각종 통계가 생산되고 있지만, 도세가 약한 탓에 희망을 떠올릴만한 전북 통계는 그리 흔치 않다. 특히, 전북 통계를 타 도나 광역단체와 비교하게 되면 상대적 박탈감만 커지는 게 보통이다. 광공업 생산액이나 수출 증가율, 1000대 기업 개수, 쓸 만한 국책 사업과 국가 예산, 인구, 임금, 삶의 질 등 거의 모든 조사 대상의 지표가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함이 확연히 느껴진다.
기자들 역시 희망적인 수치를 찾아보려 애쓰지만, 직업적 습관 때문에 좋지 않은 지표나 징후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최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부산지역과 연관이 높아 보이는 한 언론사 기자는 부산을 '인구 절벽' 위험이 가장 큰 지역으로 기사화 했고, 광역자치단체 중 전라북도는 그리 큰 위험군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으로 분류했다. 초고령화 및 인구 감소를 심하게 겪고 있는 전북지역이 '부정적 순위' 상위에서 빠진다니 이해하지 못할 분석 기사다. 당연히 전북지역 기자들은 도내 순창군, 무주군, 고창군, 부안군이 인구감소 위험지역에 포함된 자료를 기준으로 기사화했고, 도민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또 최근 무역협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장기불황에 허덕였던 전북 수출이 모처럼 2개월 연속 상승세를 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의 소소한 증가세는 지난해 기저효과에 따른 수치이며, 그나마 전국적 상승세에 한참을 못 미치는 수치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또한 올해 누적 통계에서도 전국적으로 플러스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광역자치단체 중 서울과 전북지역만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수출 누계액을 살펴보면, 전국대비 1.14%로, 전북이 광역단체가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다. 또 다른 통계청 자료를 보면, 전북지역 기혼부부들은 아이들 양육을 위해 서울 및 울산, 부산 등의 기혼부부들보다 맞벌이를 더 많이 해야 한다. 이젠 모든 지표가 부정적 분석으로 연결되기 쉬운 지경에 이르렀다.
전북 통계에서도 희망의 징후를 발견하고 싶다. 출산율이 올라가고, 인구 유입이 늘며, 제조업 생산 및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삶의 질이 좋아지고 있다는 희망의 수치가 필요하다. 만약 그동안 타의에 의해 전북이 정체되고 차별받았다면, 이제 전 도민이 나서 관련 지표들을 역전시킬 수 있는 정책을 요구해야 한다. 희망의 수치가 자꾸 눈에 띄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