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민선6기 핵심정책으로 ‘탄소산업’을 집중육성하며 기업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지만 가동중인 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탄소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성과는 미미해 투자방향이 제대로 설정돼 있는지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도에 따르면 송하진 도지사는 지난 2014년 취임 이후 도정 3대 핵심시책으로 미래 100년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중인 ‘탄소산업’을 핵심 키워드로 할 것임을 천명한 바 있다.
이에 도는 탄소기업 유치를 위해 지난 2015년 ‘전북도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조례’를 개정해 투자보조금 지원기준을 대폭 완화시키며 영세 탄소기업까지 투자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 줬다.
또 지난해 4월 도 투자유치 부서, 탄소산업 부서 및 도내 대표 혁신 연구기관의 기업지원 전문가 등 11명으로 구성된 ‘전북도 탄소기업 투자유치 TF팀’을 결성하고 본격적인 탄소기업 투자유치 활동에 들어갔다.
도는 전북이 탄소 관련 풍부한 연구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연구개발 특구 지정, 이전기업에 대한 최고의 인센티브 제공 등 최적의 투자여건을 갖추고 있는 기업 친화지역으로 TF팀 운영을 통해 유망 탄소기업의 적극적인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에 비해 매우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전북도가 1년에 탄소산업에 1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지금까지 유치한 탄소기업은 12곳뿐이다.
특히 관련기업 12곳 중 MOU 체결 이후 공장이 가동되는 곳은 단 한곳도 없었다. MOU는 말 그대로 양해각서여서 법률적 책임이 없는 탓에 ‘양해각서를 맺으면 그만’이라는 식의 무책임 행정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그나마 이들 기업 중 1곳은 지난해 4월 MOU를 체결한 후 그 해 7월 공장 착공에 들어가 공사 중이지만 나머지 기업은 착공조차 못한 상태다.
더욱이 전북도가 유치한 12개 기업 중 투자를 약속한 5개 기업은 투자액이 1억원 수준에 그칠 정도로 규모가 영세해 공장착공이나 공장가동, 보조금지급 등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단기적 성과에만 집착한 나머지 도정 핵심정책인 탄소산업 육성이 말 잔치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내 투자유치 한 전문가는 “MOU는 통상적으로 체결 후 3년이 지나면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낮다”면서 “전북도와 MOU를 체결한 일부 기업들의 경우 올해로 4년째를 맞고 있는 등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투자이행이 신속히 진행되도록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