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한 붓질과 화려한 색감으로 빚은 특유의 자연은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전북 출신 최초로 수상하는 영예를 안겨줬다. 그런 박남재(88‧전 원광대 미술대학장) 화백이 하루 중 가장 많이 하는 일은 그림 그리기다.

옛 강이라는 뜻의 호 ‘고하’를 딴 고하문학관을 운영하며 지역 문학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된 최승범(87) 시인은 매일 책을 읽고 글을 쓰며 스스로를 다스린다.

미술과 문학, 각 분야를 대표하는 거장이자 영원한 현역인 두 예술인이 60여년에 걸친 우정을 시화에 아로새겼다. 누벨백미술관(관장 최영희)이 7월 31일까지 여는 기획초대전 ‘박남재 화백과 최승범 시인의 운명 같은 동행’은 두 원로작가의 두터운 사이를 지켜본 최영희 관장의 기획이다.

26일 만난 최 관장은 “순창농림고등학교 선후배 사이로 만나 지금까지 인연을 이어온 두 분의 사연을 알게 됐다. 장르별 대가들이 합작한다면 보는 이들이 훌륭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 뜻깊을 거 같아 시작했다”면서 “박 화백님이 계신 순창 섬진강 미술관을 여섯 차례나 오가는 등 어려움도 있었지만 최선을 다해주신 두 분이 계셔서 좋은 결과가 있는 거 같다”고 계기 및 소감을 전했다.

“나는 운동선수 출신이라 거친 면이 있었고 최 교수(최승범)는 얌전했죠. 그래서 잘 맞았는지 모르지만 끊임없이 만났어요. 친구처럼 지냈죠. 작업을 같이 한 적은 없지만 정신적으로 주고받는 건 많았을 겁니다.”(박남재 화백)

“몸이 좋지 않아 병원생활을 했는데 매일 병원에 찾아와주셨어요. 어렵사리 구한 귀한 약들도 제공해 주셨습니다. 죽느냐 사느냐 하는 처지에 놓인 절 챙겨주신 겁니다.”(최승범 시인)

서로에게 남다른 애정을 품고 있는 작가들의 협업은 어떤 모습일까. 최 시인이 역대 자작시 중 마음에 와 닿거나 간결하고 형상화하기 좋은 20여 편을 선정하면, 박 화백이 글쓴이의 마음을 헤아린 다음 자신의 사유를 보태 간결하되 강렬하게 구현했다. ‘잎눈 트는 속에’ ‘세심’ ‘수심가’ ‘동화’ ‘청매’ 등이 그것.

기운 넘치는 대작에 천착해 온 박 화백이 생애 처음 시화에 도전한 만큼 과정도 궁금했다. “화선지와 수채화지를 가지고 했는데 기름이 많은 유화물감을 쓰면 번질 거 같고 사실적으로 그리면 유치할 거 같고…고민 끝에 유화로 추상과 구상을 오가며 완성했습니다. 전시장에 와서 보니 검정볼펜으로 한 번 더 그렸으면 선명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박 화백)

“쉽게 그릴 수 없는 그림을 한 번도 해 본 적 없는 분이 하시느라 애를 많이 쓰셨습니다. 막막하셨음에도 그걸 뛰어넘어주셔서 고맙고 멋집니다. 누군가는 너무 가벼운 작업이 아니냐고 하지만 협업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최 시인)

시의 속살을 관통한 뒤 회화로 재해석한 시화는 멋스럽다. 인터뷰 내내 계속해서 서로를 높이고 다독이는 우정은 은은한 향기를 더한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