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인 가구 절반 이상의 월평균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총 1인 가구는 520만 3000가구로, 이 중 여성 1인 가구는 261만 가구로 50.2%를 차지했다. 이는 5년 전인 2010년에 비해 17.7% 증가한 것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여성 1인 가구는 60세 이상이 43.2%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15.4%), 50대(15.3%) 순이었다.

여성은 60세 이상이 1인 가구의 40%를 차지했지만, 남성 1인 가구는 20세 미만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여성 1인 가구는 2017년 276만 6000가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증가세가 유지되면 2045년에는 111만 6000가구 증가한 388만 2000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성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60대까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70세 이상은 증가해 2045년에는 70세 이상 비중이 27.9%로 가장 많고, 20대와 60대는 5% 수준, 30대와 50대는 3% 수준이 될 것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문제는 여성 1인 가구의 월 평균 100만 원 미만 소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

2016년 여성 1인 가구 월 평균 소득의 56.9%가 100만 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 1인가구의 100만 원 미만 비율(29.5%)과 비교하면 약 1.9배 높은 수치다.

더욱이 60세 이상의 여성 1인 가구는 100만원 미만의 소득이 80.2%나 차지했다.

40대 이하는 100~200만 원 미만 구간의 소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50대는 200만 원 미만의 소득이 68%를 차지했다.

남성 1인 가구는 소득구간별로 비슷한 비율의 분포를 보인 반면, 여성 1인 가구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여성 1인 가구의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안전에 대해 46.2%가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안전’ 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13.0%에 불과했다.

여성 1인 가구가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정도는 전체 여성(50.9%)보다 낮고, 남성 1인 가구(36.2%)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사회의 가장 주된 불안 요인으로 여성 1인 가구의 37.2%는 ‘범죄발생’을 꼽았으며, 이어 ‘국가안보(16.9%)’, ‘경제적 위협((11.1%)’ 을 불안 요인으로 응답했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