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귀농·귀촌인 상당수가 ‘나 홀로 이주’인 것으로 나타나 ‘가족단위’의 정착을 늘릴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하다.
귀농인 상당수는 50대 이상으로 농촌 인력난과 고령화를 해결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관련기사 6면>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의 귀촌가구는 1만5672가구로 전년(1만6183가구)보다 511가구(3.2%)가 줄어든 반면, 귀농가구는 1263가구로 전년(1164가구)보다 8.5% 증가했다.
귀촌가구의 연령대별 구성비를 보면 20대 이하(16.2%), 30대(21.6%), 40대(20.0%)가 전체 귀촌인의 57.8%를 차지했다. 귀촌인 절반 가량이 40대 이하 젊은 층이라는 의미다.
그러나 귀농가구주의 연령은 50대와 60대가 각각 36.5%와 23.1%를 차지해 과반수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이들 귀농·귀촌가구는 1인 가구 중심의 ‘나홀로’ 귀농·귀촌 비율이 70%가 넘어 가족 전체가 농촌으로 터전을 옮기기가 여전히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귀농가구 1263가구 중 1인가구는 790가구(62.5%), 귀촌가구는 1만5672가구 중 1만2108가구(77.2%)로 조사됐다.
이처럼 1인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가족과 함께 농촌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적다는 의미로 가족과 떨어져 있는 만큼 정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농촌 정착에 실패할 경우 다시 도시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때문에 전북의 귀농·귀촌 인구 늘리기 정책이 ‘절반의 성공’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가족단위 정착을 늘릴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내 농촌정책 한 전문가는 “전북의 귀농·귀촌 정책이 인구유입의 효과적 통로 중 하나일 뿐 아니라 농도전북 특성과 장점을 결합할 경우 기대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가족단위로 정착할 수 있는 생활여건 개선과 지역사회에 동화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제공이 더욱 늘어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