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이하 보존회)가 토론회 후에도 회원 심의위원회를 강행하는 등 독단적 행보로 도마 위에 올랐다.

국악계는 물론 얼마 전 열린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이하 대사습) 발전방향 토론회 참가자들도 대사습의 가장 큰 폐단으로 보존회의 ‘폐쇄성’을 꼽았으나, 보존회 측은 회원 가입 시 심의 의사를 분명히 했다.

기득권임을 자인한 행보는 올해만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가 대회를 추진하고 내년부터는 보존회가 맡는다는 생각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전주시와 조직위, 보존회가 지난 23일 마련한 ‘대사습 발전 방향 토론회’에서는 운영방식, 심사제도를 비롯한 발전방향 전반을 나눴으며 세부규정보다는 큰 틀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경연 주관처인 보존회가 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과거 대사습 복원에 나선 건 실기인이 아닌 판소리 애호가, 국악 단체 관계자, 판소리 관련 사업가 등이었지만 2000년대 들어 실기인 그중에서도 특정 분야 및 유파가 주축을 이뤘다.

자연스레 독점 구조가 형성됐고 대사습 심사비리와 보존회 내부갈등까지 초래해 대회 권위를 땅에 떨어뜨린 만큼, 폐쇄적 틀을 깰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자는 것. 늘 나오던 내용이 또 거론된 걸 두고 토론회 개최 이유를 모르겠다는 입장도 있으나 반복될 정도로 본질적이고 중요한 사안을 해결하지 않은 책임이 크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한 번쯤 돌아봐야할 상황, 보존회는 회원 심의제를 고수한다. 보존회 관계자는 “지난 5월 발표한 정상화 방안대로 150명에서 300명으로 회원을 늘릴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회원 심의위원회(약 5명)를 거친다. 실기인 중심이지만 그들이 갖고 있지 않은 역량을 가진 기업인, 교수, 사회학자 등도 포함한다”라며 “심의위원회는 최소한의 자격을 묻는 절차일 뿐”이라고 답했다.

실기인 비중이 높은 것도 문제지만 회원을 통제한다는 발상 자체가 더 문제라는 데 이견은 없다. 한 문화예술 관계자는 “회원으로 받아들일지 말지 정하는 기구를 둔다는 것만 봐도 문호개방이 아니다.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만 뽑겠다는 거 아닌가. 이사회 승인을 얻어 회원이 되던 전과 뭐가 다른가”라며 “개혁의지가 있는 건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나아가 ‘대사습은 보존회 것’이라는 의식이 내재돼야 가능한 일이라고 추측했다. 금년 조직위 체제는 한시적이며 내년부터는 보존회 체제라고 공공연히 밝힌 전주시도 현 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보인다.

복수의 국악 관계자들은 “보존회는 심사위원 뇌물비리로 대통령상이 박탈되고 예산이 조건부 집행되다보니 대사습을 잠시 내려놓은 거지, 잘못한 거라 생각지 않는다. 내년부턴 당연히 자신들이 주관한다고 믿고 있다”면서 “ 때문에 이듬해 이사장 선거와 직결되는 회원들을 가입시키는 데 신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원을 무제한적으로 받아들이자는 목소리가 높은 건 이 때문. 복수의 국악 관계자들은 “보존회는 이사장과 임원진 혹은 실기인의 사적인 이익을 지키는 단체가 아닌 전주 시민들의 것이 돼야 한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영입돼 서로를 견제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보존회가 경연을 진행해 온 노고를 인정하지만 그만큼의 문제를 일으켰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 책임을 통감하고 위기를 극복하기에 1년이란 기간은 짧고 축제까지 규모가 커져 홀로 무리다. 새로운 운영방식을 시험하는 기회인 만큼 조직위 체제를 유지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전주시 관계자는 “보존회가 회원 폭을 넓히길 바라지만 사단법인이 하는 일에 이래라 저래라 할 수는 없다. 대사습과 보존회가 어떻게 가는 게 가장 좋을지 곧 있을 조직위원회 회의에서 나누겠다”고 밝혔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