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인구 증가가 지방소멸 위기 극복 및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고 있음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체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귀농·귀촌 정책을 더욱 체계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2016 귀농어·귀촌인 통계' 결과 발표에서 참여정부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정책 이후 꾸준한 귀농·귀촌 정책 추진 결과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거론되는 지방소멸 위기론을 극복하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실천 수단으로서 귀농·귀촌 정책을 더욱 체계화해야 한다는 제안도 곁들였다.
지난 2005년 도시민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귀농·귀촌 희망' 의사는 56.1%, '귀농·귀촌을 구체적으로 준비하는 도시민' 비율은 2.5%로 나타났다.
또 실제로 귀농·귀촌인은 2013년 42만3,684명, 2014년 45만8,861명, 2015년 48만8,084명, 2016년 49만6,048명으로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2016년 기준 귀농인은 2만559명인데 반해 귀촌인이 47만5,489명으로 불균형은 존재하지만, 귀농·귀촌인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귀농·귀촌 목적지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농업·농촌 발전에는 고무적이라는게 농경연의 주장이다.
아울러 2016년 귀농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자리 대안으로서나 농업·농촌의 가능성에 주목해서, 또는 자연환경 등을 비롯한 농촌의 매력 때문에, 이밖에 도시생활의 피로도에서 벗어나고자 귀농·귀촌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진단됐다.
송미령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장은 "국가적인 청년 실업 문제와 농업의 후계인력 문제 해소, 농촌 삶의 질 향상과 도농 지역격차 완화 등에 있어 귀농·귀촌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귀농·귀촌인들은 다양한 형태로 농촌 발전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 성과도 구체화되고 있음도 제시됐다.
전북 장수군 초록누리협동조합의 경우 귀농가구 여성들과 토박이 주민들이 함께 결성했는데, 귀농인들이 지닌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과 기존에 수행한 바 있는 도농교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지역의 초중고교 학생에게 다양한 방과후 프로그램 및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송미령 본부장은 "귀농·귀촌은 지역 균형발전 및 농촌지역 활성화에 결정적 촉매이자 모티브가 될 수 있는 만큼 보다 체계적인 귀농·귀촌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요구된다"며 "귀농·귀촌 인구가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주거 및 일자리 안정화를 돕는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고 밝혔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